@article{ART001609523},
author={이미숙},
title={初級日本語教材に表れた敎授法・文法項目の実態分析},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11},
number={32},
pages={185-202}
TY - JOUR
AU - 이미숙
TI - 初級日本語教材に表れた敎授法・文法項目の実態分析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11
VL - null
IS - 32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185
EP - 202
SN - 1229-7275
AB - 敎材는‘視覺化된 커리큘럼’으로, 학습의 성패를 좌우하는 요인 중의 하나이다. 한국의 대학에서 일본어를 가르친 지도 50여년이 지났고, 고등학교는 물론 중학교에서도 재량교육으로 일본어를 교육하게 되면서 학습자의 니즈와 다양성, 연령에 맞는 교재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일본어교재의 대부분이 대학생이상 성인 대상의 초급교재이고 연소자를 겨냥한 교재 역시, 이들 교재를 모방하는 경향이 짙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2002년 이후에 개발된 초급 일본어교재 10종(19권)을 선정하여 敎授法・文法項目에 주목하여 분석하여 앞으로 바람직한 일본어교재의 방향을 제시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敎授法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학습자를 위하여 좀 더 구체적인 학습대상을 명시할 필요가 있으며, 여전히 구조실라버스에 치중되어 있는 경향이 있으므로, 장면・기능・과제실라버스의 도입이 소극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지도서를 제공하고 학습법을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교구에 있어서도 개선의 여지가 있다. 각 課의 構成은 10종 모두 지나치게 劃一的이다. 본문 내용의 다양성, 회화체의 도입 등이 긍정적으로 평가되나. 각 과별 학습목표 제시가 필요하고 본문의 등장인물 및 장면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며 문법 설명이 없거나 오류가 있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文型練習에 있어서는 ‘代入’이 대부분이고 練習問題에 있어서는 ‘단순 재생’이나 ‘지시・전환’에 편중되어 있다. 칼럼도 일률적인 정보제공에 머무르고 있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한편, 文法項目에 있어서는 용어가 외래어로 바뀌는 경향이 보이나, 이전의 용어와 二重으로 사용되어, 용어의 혼란은 여전하다. 문법적 기술에 있어서도 극히 일부이지만, 이미 일반화된 연구 성과가 반영되지 않은 예를 볼 수 있다. 한 예로 요구표현을 살펴본 결과, 전후 문맥이나 상황, 장면, 문화 등에 대한 배려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초급 일본어교재는 빠른 속도로 개선되고 있으나, 구성이나 실라버스가 일률적이어서, 좀 더 학습자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며, 문법항목의 설명이나 용어 사용, 談話의 측면을 고려한 ‘運用’면에 대한 부분까지 보다 면밀한 검증이 필요하다는 것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KW -
DO -
UR -
ER -
이미숙. (2011). 初級日本語教材に表れた敎授法・文法項目の実態分析.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2, 185-202.
이미숙. 2011, "初級日本語教材に表れた敎授法・文法項目の実態分析",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2, pp.185-202.
이미숙 "初級日本語教材に表れた敎授法・文法項目の実態分析"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2 pp.185-202 (2011) : 185.
이미숙. 初級日本語教材に表れた敎授法・文法項目の実態分析. 2011; 32 : 185-202.
이미숙. "初級日本語教材に表れた敎授法・文法項目の実態分析"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2(2011) : 185-202.
이미숙. 初級日本語教材に表れた敎授法・文法項目の実態分析.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2, 185-202.
이미숙. 初級日本語教材に表れた敎授法・文法項目の実態分析.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11; 32 185-202.
이미숙. 初級日本語教材に表れた敎授法・文法項目の実態分析. 2011; 32 : 185-202.
이미숙. "初級日本語教材に表れた敎授法・文法項目の実態分析"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2(2011) : 185-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