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695419},
author={이덕봉},
title={日本語学研究 現代日本語教育方法論の目指す方向},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12},
number={34},
pages={1-10}
TY - JOUR
AU - 이덕봉
TI - 日本語学研究 現代日本語教育方法論の目指す方向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12
VL - null
IS - 34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1
EP - 10
SN - 1229-7275
AB - 일본어 교수법은 1970년대의 커뮤니커티브 어프로치가 적용되기 시작한 이래 별다른 방법론의 진전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 이면에서는 EU의 기준인 CEF의 영향으로 일본어 교육 스탠다드 작업이 진행되었고, 확장이론을 위시한 종합적 일본어학습, 오픈메소드, 호스피탈리티 일본어 교육과 같은 새로운 방법론이 제기되었다. 커뮤니커티브어프로치도 포커스온 폼에 의한 수정이론이 제기되었고, 탄뎀학습법, 블랜딩학습법, 이마죤과 같은 학습법들이 소개되어 왔다. 이러한 일련의 흐름은 학습자 중심의 학습과 종합적 학습의 경향을 띄고 있다. 이는 최근에 번지고 있는 학문의 융복합적 경향과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될 수 있겠다.
KW -
DO -
UR -
ER -
이덕봉. (2012). 日本語学研究 現代日本語教育方法論の目指す方向.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4, 1-10.
이덕봉. 2012, "日本語学研究 現代日本語教育方法論の目指す方向",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4, pp.1-10.
이덕봉 "日本語学研究 現代日本語教育方法論の目指す方向"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4 pp.1-10 (2012) : 1.
이덕봉. 日本語学研究 現代日本語教育方法論の目指す方向. 2012; 34 : 1-10.
이덕봉. "日本語学研究 現代日本語教育方法論の目指す方向"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4(2012) : 1-10.
이덕봉. 日本語学研究 現代日本語教育方法論の目指す方向.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4, 1-10.
이덕봉. 日本語学研究 現代日本語教育方法論の目指す方向.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12; 34 1-10.
이덕봉. 日本語学研究 現代日本語教育方法論の目指す方向. 2012; 34 : 1-10.
이덕봉. "日本語学研究 現代日本語教育方法論の目指す方向"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4(2012) :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