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719416},
author={Kwangjoon Min},
title={韓日両言語における空気すすりの意味と機能 },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12},
number={35},
pages={121-135}
TY - JOUR
AU - Kwangjoon Min
TI - 韓日両言語における空気すすりの意味と機能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12
VL - null
IS - 35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121
EP - 135
SN - 1229-7275
AB - 본고에서는 한·일 양 언어의 음성커뮤니케이션의 실체를 구체적으로 밝히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서 들숨 쉿소리의 의미와 기능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를 보고하기로 한다. 일본어의 경우는 사다노부(2007)의 발화자료를 이용하고, 한국어의 경우는 텔레비전 방송의 각종 대담, 인터뷰, 토크 프로그램과 드라마를 녹화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일 양언어의 들숨 쉿소리는 공통적으로 간투사적 들숨 쉿소리, 정중도 표시자적 들숨 쉿소리, 국면 회피적 들숨 쉿소리로 분류할 수 있다. 둘째, 한국어의 간투사적 들숨 쉿소리에는 공격적인 것과 비공격적인 것이 관찰되나, 일본어의 경우는 공격적인 들숨 쉿소리는 관찰되지 않는다. 간투사적 들숨 쉿소리에는 시선 돌리기, 눈살 찌푸리기, 고개 갸웃거리기 등의 행동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와 같은 특징은 한일 양 언어에서 공통적으로 관찰된다. 셋째, 정중도 표시자적 들숨 쉿소리와 국면 회피적 들숨 쉿소리는 한일 양 언어에 모두 존재하며 그 의미 기능 또한 매우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또한, 간투사적 들숨 쉿소리와는 달리, 시선 돌리기, 눈살 찌푸리기, 고개 갸웃거리기 등의 행동이 동반되지 않는다.
KW -
DO -
UR -
ER -
Kwangjoon Min. (2012). 韓日両言語における空気すすりの意味と機能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5, 121-135.
Kwangjoon Min. 2012, "韓日両言語における空気すすりの意味と機能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5, pp.121-135.
Kwangjoon Min "韓日両言語における空気すすりの意味と機能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5 pp.121-135 (2012) : 121.
Kwangjoon Min. 韓日両言語における空気すすりの意味と機能 . 2012; 35 : 121-135.
Kwangjoon Min. "韓日両言語における空気すすりの意味と機能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5(2012) : 121-135.
Kwangjoon Min. 韓日両言語における空気すすりの意味と機能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5, 121-135.
Kwangjoon Min. 韓日両言語における空気すすりの意味と機能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12; 35 121-135.
Kwangjoon Min. 韓日両言語における空気すすりの意味と機能 . 2012; 35 : 121-135.
Kwangjoon Min. "韓日両言語における空気すすりの意味と機能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5(2012) : 121-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