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719421},
author={Minchul Shin},
title={日本語と韓国語の漢語の比較 -調査の対象および基準の設定を中心に- },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12},
number={35},
pages={209-221}
TY - JOUR
AU - Minchul Shin
TI - 日本語と韓国語の漢語の比較 -調査の対象および基準の設定を中心に-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12
VL - null
IS - 35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209
EP - 221
SN - 1229-7275
AB - 본 연구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어휘부(語彙部)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한자어에 주목하여, 양 언어에 있어서의 한자어의 사용 양상, 서로의 유사점과 상이점, 상호 영향 관계 등을 밝히는 것을 최종적인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고는 그것을 위한 준비 단계로서 무엇을 대상으로 어떤 기준으로 한자어를 조사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조사 대상으로는 시소러스(thesaurus)의 기능을 갖는 양 언어의 표준적인 국어사전으로 정했고, 양쪽의 표제어를 고려하면서 조사 기준을 설정했다.
실제 조사는 한국어는「가」항, 일본어는「あ」항만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한자어를 대상으로 각각의 언어에서만 보이는 한자어에 대해 그 특징을 알아보았다. 한국어에만 있는 한자어 중에는 일본어 국어사전에서도 확인되는 것들이 있었는데, 음(音)이 아니고 한자의 일부 또는 전부를 훈독하고 있어 혼종어와 고유어(「和語」)에 속하는 것들이다. 또한, 한국어 쪽에는 한문 어구(語句)나 문(文)이 들어있기도 한데, 한국어에서는 이런 한자어가 사전의 표제어로 등장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한국어가 일본어에 비해 한자, 한문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다.
앞으로의 계획으로는 조사 범위를 사전 전체로 확대시키고, 조사된 한자어를 양쪽 언어에 있는 한자어, 각각의 언어에만 있는 한자어로 분류한 다음 여러 관점에서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 연구가 완성되면 한국어와 일본어의 어휘를 좀 더 자세하고 특징적으로 기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일 양 언어 모두 근대로 오면서 한자어가 증가한다는 것을 생각하면, 그 증가와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문화의 변화도 탐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W -
DO -
UR -
ER -
Minchul Shin. (2012). 日本語と韓国語の漢語の比較 -調査の対象および基準の設定を中心に-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5, 209-221.
Minchul Shin. 2012, "日本語と韓国語の漢語の比較 -調査の対象および基準の設定を中心に-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5, pp.209-221.
Minchul Shin "日本語と韓国語の漢語の比較 -調査の対象および基準の設定を中心に-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5 pp.209-221 (2012) : 209.
Minchul Shin. 日本語と韓国語の漢語の比較 -調査の対象および基準の設定を中心に- . 2012; 35 : 209-221.
Minchul Shin. "日本語と韓国語の漢語の比較 -調査の対象および基準の設定を中心に-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5(2012) : 209-221.
Minchul Shin. 日本語と韓国語の漢語の比較 -調査の対象および基準の設定を中心に-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5, 209-221.
Minchul Shin. 日本語と韓国語の漢語の比較 -調査の対象および基準の設定を中心に-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12; 35 209-221.
Minchul Shin. 日本語と韓国語の漢語の比較 -調査の対象および基準の設定を中心に- . 2012; 35 : 209-221.
Minchul Shin. "日本語と韓国語の漢語の比較 -調査の対象および基準の設定を中心に-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5(2012) : 209-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