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719424},
author={HyunJung Oh},
title={中学校の日本語教科書の書く活動に関する考察 },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12},
number={35},
pages={249-261}
TY - JOUR
AU - HyunJung Oh
TI - 中学校の日本語教科書の書く活動に関する考察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12
VL - null
IS - 35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249
EP - 261
SN - 1229-7275
AB - 본고에서는 제7차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생활일본어 8종 교과서를 중심으로 쓰기 활동이 어떻게 유도되고 있는가에 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현행 중학교 일본어 교과서의 쓰기 활동은 대부분 통제 작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도 작문이나 자유 작문의 도입은 매우 미진하였다. Rivers(1981)의 쓰기 지도 단계에 따라 분석한 결과, 제 1단계 ‘베껴쓰기’는 20.1%, 제 2단계 ‘재현’은 61.9%, 제 3단계 ‘재배열’은 11.4%, 제 4단계 ‘유도 작문’은 5.0%, 제 5단계 ‘자유 작문’은 1.6%로 나타났다. 본고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제 7차 개정교육과정 쓰기 활동의 문제점을 제시하면, ①쓰기 교육을 기준으로 볼 때 교과서 간 편차가 매우 크다 ②전체적으로 ‘통제 작문’ 의 비중이 매우 높으며 특히 ‘재현’ 단계의 편중도가 높다 ③‘자유 작문’의 비중이 매우 낮다 ④‘베껴쓰기’ 단계에서 가타카나 쓰기의 비중이 낮다 등이다. 쓰기 활동은 사고 및 창조 활동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어 다른 기능에 비해 난이도가 높고 복잡하기 때문에 문자를 쓰는 단계에서 낱말과 문장으로 쓰기 단위를 확대하여 최종적으로 자유 작문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지도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KW -
DO -
UR -
ER -
HyunJung Oh. (2012). 中学校の日本語教科書の書く活動に関する考察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5, 249-261.
HyunJung Oh. 2012, "中学校の日本語教科書の書く活動に関する考察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5, pp.249-261.
HyunJung Oh "中学校の日本語教科書の書く活動に関する考察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5 pp.249-261 (2012) : 249.
HyunJung Oh. 中学校の日本語教科書の書く活動に関する考察 . 2012; 35 : 249-261.
HyunJung Oh. "中学校の日本語教科書の書く活動に関する考察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5(2012) : 249-261.
HyunJung Oh. 中学校の日本語教科書の書く活動に関する考察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5, 249-261.
HyunJung Oh. 中学校の日本語教科書の書く活動に関する考察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12; 35 249-261.
HyunJung Oh. 中学校の日本語教科書の書く活動に関する考察 . 2012; 35 : 249-261.
HyunJung Oh. "中学校の日本語教科書の書く活動に関する考察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5(2012) : 249-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