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751546},
author={Ko, Yu-jin},
title={日本語アナウンストレーニングが韓国人学習者の発音に及ぼす影響に関する考察},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13},
number={36},
pages={65-80}
TY - JOUR
AU - Ko, Yu-jin
TI - 日本語アナウンストレーニングが韓国人学習者の発音に及ぼす影響に関する考察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13
VL - null
IS - 36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65
EP - 80
SN - 1229-7275
AB - 본 연구는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에 대한 일본어 아나운스 트레이닝의 효용성에 관한 고찰로 악센트의 교정효과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 앞선 사전조사에서 음의 높낮이에 의한 의미구분의 기능이 없는 한국어 표준어의 특징이 일본의 무악센트 지방의 방언과 흡사한 면을 가진 것에 착안하여, 일본 무악센트 지방 출신 화자가 동경방언의 악센트를 습득하여 아나운서가 된 사례를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동경방언의 악센트를 습득한 방법을 조사한 바, 뉴스 아나운서의 음성을 모델로 삼아 반복 연습을 하였다는 공통점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악센트 지방 출신 화자에게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던 트레이닝을 한국인 학습자에게 적용시켰을 경우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발음교정 트레이닝을 실시한 후,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트레이닝을 통하여 피험자들의 문제점 변화양상을 확인한 결과, 전반적인 하강조 부분의 상승조 문제는 트레이닝 전에 비해 오류 개선율 86.6%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두고형 악센트의 미고형화 및 평판형화 문제는 사전 오류 발생률 93%에서 60%로 감소하여 현저하다고 하기는 어려우나 오류수정의 효과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평균 4구절로 나누어 발음하는 악센트구 범위의 축소화 문제는, 모델음성과 같은 2구절로 수정된 비율이 20%, 3구절로 수정된 비율이 40%로 피험자의 과반 이상의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완전 수정률이 높지 않은 점에서, 두고형 악센트 문제와 더불어 오류 개선율 향상을 위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인 무악센트지방 출신의 화자에게 긍정적 효과가 있었던 아나운스 트레이닝이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에게는 어떠한 효과를 보일지를 중점적으로 고찰한 결과, 한국인 학습자 대상일 경우에는 일본인 모어화자의 경우처럼 긍정적인 효과만을 가져오지는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에는 긍정적인 효과가 크다고 볼 수 있으나, 일부는 악센트 인식상의 혼란을 일으키기도 하는 부정적인 효과 또한 존재하였다. 이러한 부정적 효과의 원인으로는 과제집착력이나 수업에 대한 몰입도와 같은 개인차를 하나의 가능성으로 제기할 수 있으나, 트레이닝과의 연관성도 가능성이 있으므로, 차후의 연구를 통한 보완을 더한다면 일본어 교육에 도입함에 있어 실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W -
DO -
UR -
ER -
Ko, Yu-jin. (2013). 日本語アナウンストレーニングが韓国人学習者の発音に及ぼす影響に関する考察.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6, 65-80.
Ko, Yu-jin. 2013, "日本語アナウンストレーニングが韓国人学習者の発音に及ぼす影響に関する考察",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6, pp.65-80.
Ko, Yu-jin "日本語アナウンストレーニングが韓国人学習者の発音に及ぼす影響に関する考察"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6 pp.65-80 (2013) : 65.
Ko, Yu-jin. 日本語アナウンストレーニングが韓国人学習者の発音に及ぼす影響に関する考察. 2013; 36 : 65-80.
Ko, Yu-jin. "日本語アナウンストレーニングが韓国人学習者の発音に及ぼす影響に関する考察"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6(2013) : 65-80.
Ko, Yu-jin. 日本語アナウンストレーニングが韓国人学習者の発音に及ぼす影響に関する考察.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6, 65-80.
Ko, Yu-jin. 日本語アナウンストレーニングが韓国人学習者の発音に及ぼす影響に関する考察.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13; 36 65-80.
Ko, Yu-jin. 日本語アナウンストレーニングが韓国人学習者の発音に及ぼす影響に関する考察. 2013; 36 : 65-80.
Ko, Yu-jin. "日本語アナウンストレーニングが韓国人学習者の発音に及ぼす影響に関する考察"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6(2013) : 65-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