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751592},
author={이유진},
title={日本語教材の音声資料における発話速度とポーズ},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13},
number={36},
pages={167-183}
TY - JOUR
AU - 이유진
TI - 日本語教材の音声資料における発話速度とポーズ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13
VL - null
IS - 36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167
EP - 183
SN - 1229-7275
AB - 본고에서는 음성커뮤니케이션에서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는 발화속도와 포즈를 음성교육에 도입하기 위한 기초단계의 하나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일본어 중·고등학교 교과서, 국내의 초급 일본어 교재, 일본어 초급 일본어 교재의 발화속도와 포즈의 특징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또한 중학교 교과서의 발화 간 포즈의 길이를 일본어 초급 일본어 교재의 발화 간 포즈의 길이로 변환하였을 경우 일본어 모어화자의 청취인상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교재가 초반·중반·후반에서 발화속도와 발화 내 포즈는 변화 없이 나타났다. 발화속도를 측정한 결과 중학교 교과서가 가장 느리게 나타났으며, 고등학교 교과서, 국내의 초급 일본어 교재, 일본의 초급 일본어 교재의 순서로 일본의 초급 일본어 교재가 가장 빠르게 나타났다. 둘째, 발화 간 포즈는 일본의 초급 교재 SFJ가 대화의 흐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을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일정하게 나타났다. 발화 간 포즈를 비교해 보면 일본의 초급 일본어 교재가 가장 짧게 나타났으며, 고등학교 교과서, 국내의 초급 일본어 교재, 중학교 교과서의 순서로 중학교 교과서가 가장 긴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중학교 교과서의 발화 간 포즈의 길이를 일본의 초급 일본어 교재의 발화 간 포즈의 길이로 단축하였을 경우 일본어 모어화자의 자연성에 대한 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KW -
DO -
UR -
ER -
이유진. (2013). 日本語教材の音声資料における発話速度とポーズ.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6, 167-183.
이유진. 2013, "日本語教材の音声資料における発話速度とポーズ",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6, pp.167-183.
이유진 "日本語教材の音声資料における発話速度とポーズ"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6 pp.167-183 (2013) : 167.
이유진. 日本語教材の音声資料における発話速度とポーズ. 2013; 36 : 167-183.
이유진. "日本語教材の音声資料における発話速度とポーズ"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6(2013) : 167-183.
이유진. 日本語教材の音声資料における発話速度とポーズ.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6, 167-183.
이유진. 日本語教材の音声資料における発話速度とポーズ.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13; 36 167-183.
이유진. 日本語教材の音声資料における発話速度とポーズ. 2013; 36 : 167-183.
이유진. "日本語教材の音声資料における発話速度とポーズ"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6(2013) : 167-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