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826918},
author={leekyungsoo},
title={日本語の語彙的複合動詞の意味と文法 -日本語教育のための試み-},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13},
number={38},
pages={155-166}
TY - JOUR
AU - leekyungsoo
TI - 日本語の語彙的複合動詞の意味と文法 -日本語教育のための試み-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13
VL - null
IS - 38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155
EP - 166
SN - 1229-7275
AB - 한국인 일본어 상급학습자를 대상으로 일본어 어휘적 복합동사 활용도를 살펴보았다. 앙케트 조사에서 제시한 복합동사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打ち落とす」류의 복합동사는 전항동사와 후항동사가 대등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두 개의 동사로 분리가 가능하고「て」형으로 대치할 수 있다.
2)「呼び出す」와「呼びつける」는 문맥과 상황에 따라 달리 사용된다.「呼びつける」는 주의를 주려고 부르거나 자기 쪽으로 오게 하는 경우 또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불러내거나 할 때 사용하며「だす」가「つける」보다 범위가 넓다.
3)「追い越す」와「追い抜く」는 차선을 바꾸어서 추월하면「追い越す」, 차선을 바꾸지 않고 그대로 달리면서 추월한다면「追い抜く」로 구별할 수 있다4)「咲き残る」는 전항동사인「咲く」에 중점이 있느냐 후항동사인「残る」에 중점이 있느냐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5)「~かねる」와「~かねない」는 전혀 의미가 다르다.「~かねる」의 부정이「かねない」가 아니다.
복합동사의 특성을 알기 위해서는 본동사의 의미를 바르게 이해한 다음 전항동사와 후항동사로 쓰일 때의 특성을 이해하도록 지도해야하고 복합동사는 문장을 통화여 학습하도록 해야 한다. 유사 복합동사 또는 하나의 복합동사가 상반되는 두 개 이상의 의미를 가질 때는 삽화를 활용하면 그 의미를 쉽게 구별할 수 있으므로 일본어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해볼 만하다.
KW -
DO -
UR -
ER -
leekyungsoo. (2013). 日本語の語彙的複合動詞の意味と文法 -日本語教育のための試み-.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8, 155-166.
leekyungsoo. 2013, "日本語の語彙的複合動詞の意味と文法 -日本語教育のための試み-",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8, pp.155-166.
leekyungsoo "日本語の語彙的複合動詞の意味と文法 -日本語教育のための試み-"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8 pp.155-166 (2013) : 155.
leekyungsoo. 日本語の語彙的複合動詞の意味と文法 -日本語教育のための試み-. 2013; 38 : 155-166.
leekyungsoo. "日本語の語彙的複合動詞の意味と文法 -日本語教育のための試み-"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8(2013) : 155-166.
leekyungsoo. 日本語の語彙的複合動詞の意味と文法 -日本語教育のための試み-.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38, 155-166.
leekyungsoo. 日本語の語彙的複合動詞の意味と文法 -日本語教育のための試み-.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13; 38 155-166.
leekyungsoo. 日本語の語彙的複合動詞の意味と文法 -日本語教育のための試み-. 2013; 38 : 155-166.
leekyungsoo. "日本語の語彙的複合動詞の意味と文法 -日本語教育のための試み-"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38(2013) : 155-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