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091730},
author={Kim, Hyeon-Cheol},
title={A study on the experience of the Tsukiji small theater and the relation of the dramatic theory of Hong hae sung},
journal={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issn={1225-7729},
year={2007},
number={26},
pages={73-119},
doi={10.17938/tjkdat.2007..26.73}
TY - JOUR
AU - Kim, Hyeon-Cheol
TI -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the Tsukiji small theater and the relation of the dramatic theory of Hong hae sung
JO -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PY - 2007
VL - null
IS - 26
PB - The Learned Society Of Korean Drama And Theatre
SP - 73
EP - 119
SN - 1225-7729
AB - 이 논문의 연구목적은 축지소극장과 홍해성의 영향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홍해성은 1926년 6월부터 1929년 3월까지 축지소극장에서 배우로 활약한 매우 특이한 경력의 소유자이다. 그는 1930년 귀국하여 축지소극장의 체험을 바탕으로 한국에서 근대극 운동을 시작하였다. 홍해성의 대표적인 연극론부터 살펴보면, 크게 관중양성론, 번역극 도입론, 이상적인 배우론, 동지적 단결론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관중양성론은 일반 대중들의 관심에서 멀어졌던 축지소극장의 선체험이 매우 강하게 작용한 논리이다. 홍해성은 대중들까지도 근대극운동을 함께 펼쳐나갈 동지로서 육성시켜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둘째, 번역극 도입론은 축지소극장의 방법론을 차용한 것이다. 연극의 불모지였던 조선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근대극 운동을 펼치기 위한 방법론으로서 번역극 도입론을 강조하였다. 셋째, 이상적인 배우론은 홍해성 자신의 배우 체험이 바탕이 된 것이다. 이상적 배우란 항상 사회적 역할과 책임을 의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넷째, 동지적 단결론은 축지소극장에서 몸소 체험했던 끈끈한 인간적 유대라는 추억이 바탕이 된 것이다. 소극장의 회원들이 동지적 단결해야 결국에는 모든 대중들까지 동지로 규합할 수 있다는 논리이다.
그리고, 축지소극장과 극예술연구회의 제1회 공연과 제2회 공연으로 올려진 <검찰관>과 <해전>의 관극평을 통하여 홍해성의 특징과 위상을 밝혀낼 수 있었다. 홍해성은 당시로서는 축지소극장에서 직접 공연을 경험했던 매우 특이한 존재였기 때문에 무척 많은 기대를 한몸에 받았다. 그러나, 그는 우선 축지소극장의 연출을 그대로 답습하는 방식을 선택하였다. 극장, 배우, 무대연출 등 공연환경이 매우 열악했던 당시 상황에서는 축지소극장식 공연을 단순히 모방하기도 급급한 상황이었다. 그러나, 기대 수준이 높았던 극예술연구회의 회원들은 홍해성의 연출력에 대해서 서서히 실망하기 시작했고, 이러한 분위기는 홍해성에서 견딜 수 없는 압력으로 작용했다. 결국 경제적 궁핍이 함께 겹치면서 홍해성은 극예술연구회를 떠나 동양극장의 지도적 연출가로 자리를 옮기게 되었다.
KW -
DO - 10.17938/tjkdat.2007..26.73
ER -
Kim, Hyeon-Cheol. (2007).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the Tsukiji small theater and the relation of the dramatic theory of Hong hae sung.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26, 73-119.
Kim, Hyeon-Cheol. 2007,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the Tsukiji small theater and the relation of the dramatic theory of Hong hae sung",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no.26, pp.73-119. Available from: doi:10.17938/tjkdat.2007..26.73
Kim, Hyeon-Cheol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the Tsukiji small theater and the relation of the dramatic theory of Hong hae sung"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26 pp.73-119 (2007) : 73.
Kim, Hyeon-Cheol.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the Tsukiji small theater and the relation of the dramatic theory of Hong hae sung. 2007; 26 : 73-119. Available from: doi:10.17938/tjkdat.2007..26.73
Kim, Hyeon-Cheol.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the Tsukiji small theater and the relation of the dramatic theory of Hong hae sung"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no.26(2007) : 73-119.doi: 10.17938/tjkdat.2007..26.73
Kim, Hyeon-Cheol.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the Tsukiji small theater and the relation of the dramatic theory of Hong hae sung.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26, 73-119. doi: 10.17938/tjkdat.2007..26.73
Kim, Hyeon-Cheol.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the Tsukiji small theater and the relation of the dramatic theory of Hong hae sung.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2007; 26 73-119. doi: 10.17938/tjkdat.2007..26.73
Kim, Hyeon-Cheol.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the Tsukiji small theater and the relation of the dramatic theory of Hong hae sung. 2007; 26 : 73-119. Available from: doi:10.17938/tjkdat.2007..26.73
Kim, Hyeon-Cheol.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the Tsukiji small theater and the relation of the dramatic theory of Hong hae sung"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no.26(2007) : 73-119.doi: 10.17938/tjkdat.2007..26.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