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750591},
author={Kwon,Pyong-Ro and Park, Jong-Hee},
title={Remarks on the so-called 'k' additive word forms in Middle Korean},
journal={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ssn={1229-3946},
year={2013},
volume={54},
number={54},
pages={465-495},
doi={10.23016/kllj.2013.54.54.465}
TY - JOUR
AU - Kwon,Pyong-Ro
AU - Park, Jong-Hee
TI - Remarks on the so-called 'k' additive word forms in Middle Korean
JO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PY - 2013
VL - 54
IS - 54
PB - 국어문학회
SP - 465
EP - 495
SN - 1229-3946
AB - 본 논문에서, 중세국어에서 ‘ㄱ' 덧남을 가진 어간은 기저형으로 /나, [Dor]/로 나타난다. 이 형태에서 [Dor]는 잠재음(자질)로 간주된다. ’잠재음‘이란 용어는 문법이 결정하는 위치에서 완전분절음으로 실현되는 부동자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되는 분석은 독립적으로 요구되는 분절음 구조제약과 개음절(NoCoda)제약, 제약 위계에서의 MAX(잠재음)과 ANCHOR 사이의 서로 다른 가능한 관계들, 표면형에서의 음절 수를 제한하는 데 있어서의 *STRUC(σ)의 역할로부터 다양한 유형을 이끌어 낸다. *STRUC(σ)는 기존의 음절구조에 끼어드는 자음에 의해서는 결코 위배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STRUC(σ)는 한 단어의 음절의 총수에만 관여하고 음절의 내부 복합구조에는 관여하지 않기 때문이다.
잠재음이 부동 CPlace 자질들로서 표시되는 설명아래서 분절음 구조의 역할은 명확하다. 왜냐하면 그 자질들에 대응하는 중세국어의 2차 조음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분절음 구조는 이 자질들이 삽입된 뿌리마디에서 일차적인 조음으로 나타나는 것 외에는 어디에서나 나타나는 것을 막아준다. ANCHOR는, 삽입되는 뿌리마디가 올 공간이 있는 경우 그것이 어간 말에 삽입될 것이고 그래서 우리는 그 자리에 오는 잠재음 자질을 유지할 기저의 뿌리마디에 의존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확실하게 해 준다. MAX(잠재음) 위의 *STRUC(σ)의 서열은 기존의 음절구조 내에 잠재음이 나타날 수 있는 여지가 없을 때에는 그 자질이 발현하는 데 실패하게 된다. 이것은 표 (8), (10), (16), (18), (19)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중세국어에서의 어간 교체의 특별한 움직임은 (뿌리 없는) 잠재음 자질과 관련된 일반 제약 위계의 상호작용을 따른다.
KW -
DO - 10.23016/kllj.2013.54.54.465
ER -
Kwon,Pyong-Ro and Park, Jong-Hee. (2013). Remarks on the so-called 'k' additive word forms in Middle Korea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54(54), 465-495.
Kwon,Pyong-Ro and Park, Jong-Hee. 2013, "Remarks on the so-called 'k' additive word forms in Middle Korea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vol.54, no.54 pp.465-495. Available from: doi:10.23016/kllj.2013.54.54.465
Kwon,Pyong-Ro, Park, Jong-Hee "Remarks on the so-called 'k' additive word forms in Middle Korea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54.54 pp.465-495 (2013) : 465.
Kwon,Pyong-Ro, Park, Jong-Hee. Remarks on the so-called 'k' additive word forms in Middle Korean. 2013; 54(54), 465-495. Available from: doi:10.23016/kllj.2013.54.54.465
Kwon,Pyong-Ro and Park, Jong-Hee. "Remarks on the so-called 'k' additive word forms in Middle Korea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54, no.54 (2013) : 465-495.doi: 10.23016/kllj.2013.54.54.465
Kwon,Pyong-Ro; Park, Jong-Hee. Remarks on the so-called 'k' additive word forms in Middle Korea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54(54), 465-495. doi: 10.23016/kllj.2013.54.54.465
Kwon,Pyong-Ro; Park, Jong-Hee. Remarks on the so-called 'k' additive word forms in Middle Korea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2013; 54(54) 465-495. doi: 10.23016/kllj.2013.54.54.465
Kwon,Pyong-Ro, Park, Jong-Hee. Remarks on the so-called 'k' additive word forms in Middle Korean. 2013; 54(54), 465-495. Available from: doi:10.23016/kllj.2013.54.54.465
Kwon,Pyong-Ro and Park, Jong-Hee. "Remarks on the so-called 'k' additive word forms in Middle Korea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54, no.54 (2013) : 465-495.doi: 10.23016/kllj.2013.54.54.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