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694236},
author={Hwang, Su-jeong},
title={梅泉黄玹《园植十五咏》的形象化方式研究},
journal={The Studies in Korean Poetry and Culture},
issn={2466-1759},
year={2012},
number={30},
pages={329-360}
TY - JOUR
AU - Hwang, Su-jeong
TI - 梅泉黄玹《园植十五咏》的形象化方式研究
JO - The Studies in Korean Poetry and Culture
PY - 2012
VL - null
IS - 30
PB - The Society of Korean Poetry and Culture
SP - 329
EP - 360
SN - 2466-1759
AB - 본고는 梅泉 黃玹(1855∼1910)의 <園植十五咏> 형상화 방식을 연구한 것이다. 매천의 자연 초목에 대한 미적 형상화를 고찰하였다. <園植十五咏>은 매천의 나이 46세 때인 1900년에 지은 것이다. 당시 매천이 구례 만수동에서 우거하고 있을 때이다. 매천은 집 정원에 두른 梧桐, 檟, 柿, 石榴, 竹, 芭蕉, 菊, 牡丹, 梅, 松, 桑, 槐, 百日紅, 栗, 人蔘 등을 오언시로 묘사하였다. 15가지 초목을 형상화하여 자연 초목에 대한 인식을 표출하였다. 시인의 자연 초목에 대한 인식과 미의식을 탐색할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시 연구에 있어 미의식을 추적하는 일은 시인의 예술적 감각을 알 수 있는 첩경이다. 이 연구는 명명된 15가지 꽃과 나무의 형상화를 통한 미의식 고찰에 목적이 있다.
먼저 <園植十五咏> 제작의도 및 방법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우선 매천이 이 작품을 창작할 수 있었던 배경을 추론하였다. 여기서는 두 가지 점을 들 수 있었다. 그의 심미적 취향의 표출 욕구를 들 수 있다. 매천은 일반적인 군자의 표상인 사군자 등의 묘사에 머무르지 않았다. 그는 오히려 다양한 자연 초목에 관심을 두었다. 일상 삶의 주변에 있으면서도 미적으로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초목들에도 관심을 두었다. 이는 매천의 사물에 대한 관조와 삶에 대한 깊은 사유에서 표출된 것이다. 따라서 자연 초목에 시인의 성정을 담고 관조하여 독특한 미의식을 형성했다. 그의 시 표현방법에 있어서도 긴 호흡의 장시가 대부분이다. 이를 초목과의 인연이나 관계를 묘사한 도입부와 중심 묘사부, 그리고 詩意를 표출한 결말부로 대부분 3단 구성을 이루었다. 마치 이야기를 전해주듯 단편서사시적인 구조와 유사한 형태로 자연 초목을 형상화하였다.
매천이 노래한 15가지 초목을 다음 세 가지 구분하여 분석할 수 있었다. 먼저 <菊>, <石榴>, <芭蕉>, <人蔘>, <梧桐>, <竹>의 시는 위안과 자족으로 형상화하였다. 다음은 <檟>, <梅>, <桑>, <百日紅>, <牡丹>은 경계와 관조로 표출되었다. 그리고 <松>, <槐>, <栗>, <杮>는 멋과 탈속으로 미적 구현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첫째, 위안과 자족의 형상화는 자연이 주는 아름다움에서 인간과 자연이 어우러진 합일점에 접근한 것이다. 매천은 자연을 통해 인간이 획득할 수 있는 감성을 도출하여 즐거움과 위안을 얻고자 하였다. 이는 <菊>, <石榴>, <芭蕉> 등을 통해 화려하지 않으면서 자신의 미적 소임을 다하는 소박하고 고졸한 정서로 표출하였다. 둘째, 경계와 관조의 형상화는 <檟>, <梅> 등을 통해서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성찰하여 경계를 늦추지 않는 삶의 자세를 읽을 수 있었다. 이로써 사물에 대한 관조와 단단한 삶의 철학을 표출한 것이다. 셋째, 멋과 탈속의 형상화는 <松>, <槐> 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매천은 시적 표현을 고정된 정감의 부호에 국한시키지 않았다. 매천 나름의 방식으로 자유롭게 사유하고 자연과 交融하고자 하였다. 이는 곧 낭만적인 상상으로 이어져서 탈속적 분위기를 이끈 것이다. <園植十五咏>은 자유로운 정감 표출 속에 작가의 독특한 사유를 바탕으로 미적 발현에 충실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따라서 우리 선인의 자연 초목에 대한 사유와 미의식을 드러낼 수 있었다. 현대 사회에서 이러한 멋과 예술을 발전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KW -
DO -
UR -
ER -
Hwang, Su-jeong. (2012). 梅泉黄玹《园植十五咏》的形象化方式研究. The Studies in Korean Poetry and Culture, 30, 329-360.
Hwang, Su-jeong. 2012, "梅泉黄玹《园植十五咏》的形象化方式研究", The Studies in Korean Poetry and Culture, no.30, pp.329-360.
Hwang, Su-jeong "梅泉黄玹《园植十五咏》的形象化方式研究" The Studies in Korean Poetry and Culture 30 pp.329-360 (2012) : 329.
Hwang, Su-jeong. 梅泉黄玹《园植十五咏》的形象化方式研究. 2012; 30 : 329-360.
Hwang, Su-jeong. "梅泉黄玹《园植十五咏》的形象化方式研究" The Studies in Korean Poetry and Culture no.30(2012) : 329-360.
Hwang, Su-jeong. 梅泉黄玹《园植十五咏》的形象化方式研究. The Studies in Korean Poetry and Culture, 30, 329-360.
Hwang, Su-jeong. 梅泉黄玹《园植十五咏》的形象化方式研究. The Studies in Korean Poetry and Culture. 2012; 30 329-360.
Hwang, Su-jeong. 梅泉黄玹《园植十五咏》的形象化方式研究. 2012; 30 : 329-360.
Hwang, Su-jeong. "梅泉黄玹《园植十五咏》的形象化方式研究" The Studies in Korean Poetry and Culture no.30(2012) : 329-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