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2024 KCI Impact Factor : 0.74
-
pISSN : 2092-5239 / eISSN : 2713-7376
- https://journal.kci.go.kr/JOIS
pISSN : 2092-5239 / eISSN : 2713-7376
『국제학논총』 투고 규정
◎ 투고 규정
1. 투고논문은 사회과학분야의 국제학 및 지역학과 관련한 미발표된 것으로 이론과 실제에 대한 창의적 비판, 연구, 새로운 제안 등의 내용이어야 한다.(개정 2023. 5. 17.)
2. 투고자격은 석사과정생 이상을 원칙으로 한다.(신설 2021.03.24.)
3. 본 연구소 학술행사의 초청으로 발표된 논문은 특집으로 게재할 수 있다. 단, 이 경우에 는 심사료 납부를 면제한다.
4. 게재된 논문의 저작권은 원칙적으로 국제학연구소에 귀속한다. 투고 시 연구윤리서약 및 저작권 이양 동의서를 작성한다.
5. 투고자는 계명대학교 국제학연구소 온라인 논문투고 시스템인 JAMS를 통해 투고한다. JAMS를 통한 투고 시, 투고자는 소속과 직위 등 저자 정보를 정확하게 밝혀야 한다.(개정 2018.9.11., 2019.11.25.)
※ 논문 제출처 : https://kmjois.jams.or.kr/co/main/jmMain.kci (국제학연구소 JAMS)
<소속 및 직위별 표시 사항>
대상 | 표시할 사항 | |
대학 소속 | 대학 소속 교수(전임/비전임) | 성명/00대학/교수 |
대학 소속 강사 | 성명/00대학/강사 | |
대학 소속 학생 | 성명/00대학/학생 | |
대학 소속 박사후연구원 | 성명/00대학/박사후연구원 | |
초중등 학교 소속 | 초중등학교 소속 학생 | 성명/00학교/학생 |
초중등학교 소속 교사 | 성명/00학교/교사 | |
기타 | 소속/직위가 없는 경우 | 성명 |
6.『국제학논총』의 구체적인 출판일정은 다음과 같다.
1) 국제학논총의 논문접수마감일은 매년 4월 30일, 10월 31일로 한다.
2) 국제학논총의 발행일은 매년 6월 30일, 12월 31일로 연 2회 발행한다.
| 논문접수 마감일 | 학회지 발행일 |
1차 | 4월 30일 | 6월 30일 |
2차 | 10월 31일 | 12월 31일 |
7. 투고 논문은 본 연구소의 투고 규정 및 논문 작성 요령에 따라 작성한다.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논문의 접수를 보류 또는 반송할 수 있다.
8. 논문의 본문은 한국어 또는 영어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부득이한 경우에는 그 외의 다른 언어로 작성할 수 있으나 초록, 주제어는 영어로 작성하여야한다.
9. 제출된 최종 원고는 별도의 교정 절차 없이 출판되므로 필자는 논문 작성 요령에 맞게 오류나 오․탈자 등이 없도록 작성한다.
10. 게재가 확정된 논문에 대해 투고자가 ‘게재예정증명서’를 요구할 경우에는 편집위원장의 확인을 통해 소장이 발급한다.
11. 원고 분량은 지정된 서식규정으로 10,000 단어 이내와 원고지 기준 150매 내외로 하며 180매를 넘지 않도록 한다. 기준 분량 초과 시 편집위원회는 분량 축소를 요청하거나 게재를 다음호로 미룰 수 있다.
12. 투고자는 심사위원 3인의 수정지시에 따라 ‘수정원고 소견서’에 수정내용 및 소견을 기 재하여 최종 수정 논문과 함께 편집위원회에 제출한다.
13. 게재확정으로 결정되거나 게재된 후에도 다른 학술지에 게재된 적이 있는 논문이나 무 단 도용이 밝혀질 경우에는 게재를 취소하고 이후 2년간 논문 제출을 제한한다.
14. 게재확정 논문을 발간할 경우에는 저자의 소속과 직위 등 저자 정보를 논문에 명확히 밝힌다.(신설 2019.11.25.)
15) 그 외 논문투고규정에 명시되지 않은 사안이 발생할 경우 편집위원회의 결정에 따른다.
부칙
1. 이 규정은 1995년 9월 27일부터 시행한다.
2. 이 개정규정은 2018년 9월 11일부터 시행한다.
3. 이 개정규정은 2019년 11월 25일부터 시행한다.
4. 이 개정규정은 2021년 3월 24일부터 시행한다.
5. 이 개정규정은 2023년 5월 17일부터 시행한다.
6. 1995년 9월 27일 시행된 통합규정을 2010년 4월 1일부터 편집위원회 규정, 논문심사 규정, 투고규정, 윤리규정을 분리 시행한다.
◎논문 작성 요령
<원고분량>
1. 한글 논문의 분량은 국문초록, 영문초록을 포함하여 200자 원고지 150매 내외로 하며, 180매를 넘지 않아야 한다. 국문초록은 600단어 이내로 하고, 주제어(색인어)는 5개로 한다.
2. 영어 논문의 분량은 10,000 단어를 넘지 않아야하며, 영문초록은 400단어 내외로 하고, 주제어(색인어)는 5개로 한다.
3. 서평의 분량은 200자 원고지 30매 내외로 한다.
<원고편집양식>
1. 논문의 틀
1) 원고는 한글 논문은 한글(2007 이후 판) 프로그램으로, 영어 논문은 MS Word를 사용 하여 작성한다.
2) 원고 용지는 백색의 A4용지를 세로로 이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표, 그림에 한하
여 필요한 경우에는 가로 용지를 사용할 수 있다.
3) 여백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위쪽: 35mm, 아래 쪽: 35mm, 좌측: 30mm, 우측: 30mm
4) 글자의 크기는 10, 장평은 95, 글자 간격(자간)은 0, 줄 간격은 160으로 하고, 글자체 는 ‘바탕’체를 사용한다.
5) 영어 논문의 경우 글자크기는 12, 글자체는 Times New Roman, 줄 간격은 더블스페
이스로 한다.
6) 논문의 첫 장에는 논문 제목, 저자의 이름, 소속, 연락처(이메일)를 명기한다. 필자가 복수일 경우에는 횡렬로 기재한다. 감사의 말이나 연구비 수령 사실은 논문 제목에 각 주(*)처리하고, 저자의 소속과 이메일은 저자의 이름에 각주(**)처리한다.
7) 원고는 제목, 성명 및 소속, 국문초록(영문논문의 경우 영문초록), 국문주제어(영문논
문의 경우 영문주제어), 본문, 참고문헌, 영문초록(영문논문의 경우 국문초록)의 순서
로 작성한다.(개정 2021.03.24.)
8) 본문에서 새로운 문단이 시작될 때에는 한 글자(혹은 두 칸) 뒤로 들여쓰기를 한다.
9) 쪽 번호는 원고 하단의 중앙에 위치시키며,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한다.
10) 본문의 소제목의 번호체계는 1, 1), (1), ① 순서로 구분한다.
11) 한글 문장에서 쌍점(:)이나 쌍반점(;) 등은 사용하지 않는다.
12) 줄표를 사용할 경우 한글 프로그램의 문자표에 있는 “―”(하이픈)를 사용한다.
2. 표와 그림
1) 표는 반드시 한글 프로그램의 표 만들기 메뉴를 사용하여 작성한다.
2) 표 제목은 표의 위쪽에, 그림 제목은 그림 아래쪽에 넣고 표와 그림은 구분하여 일련번호를 붙여 <표 1> 혹은 <그림 1>과 같이 표기한다. 출처는 표나 그림의 바로 아래에 “자료:” 라고 쓴 후에 제시한다.
<참고문헌 작성 요령>
1. 본문에서의 참고 및 인용
1) 참고한 책에 대한 주석은 본문 주로 하며, 보충적인 내용이나 설명이 필요한 경우에는
각주를 사용한다.
2) 강조어는 ‘ ’로 인용구는 “ ”를 사용한다.
3) 세 줄 이상의 인용문은 블록 인용으로 한다. 블록 인용문의 글자크기는 9로, 줄간은 150으로, 좌우 여백은 각각 10pt.로 한다.
인용문과 본문 사이는 두 줄을 띄운다.
4) 사례 등을 인용할 경우 “사례”라는 글자와 사례 번호를 괄호 안에 넣는다. 이때 “사례”라는 글자와 번호 사이는 한 칸 띄어 쓰고, 마침표는 괄호 바깥에 찍는다. 인용문 및 사례 번호 등은 모두 본문과 같은 글씨체로 한다.
2. 본문 주의 표기는 다음과 같이 한다.
1) 저술 인용 방식은 저자의 이름과 저서의 출판연도를 기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필 요한 경우 인용 페이지를 기재하도록 한다.
예) (이효재, 2007: 150) 또는 이효재(2007)
2) 인용되는 도서명이 여러 권인 경우에는 책이름 사이에 세미콜론을 표기하고 가나다 순 으로 나열한다.
예) (이효재, 2003; 조혜정, 1988)
3) 저자가 2인일 경우 국내 문헌은 저자명 사이에 가운데 점을 찍고, 국외 문헌은 저자명 사이에 and를 쓴다.
예) (박홍주 ․ 이은아, 2004)
예) (Mishra and Hodge, 1991)
4) 저자가 3인 이상일 경우에는 첫 번째 저자만 표시 하고 그 외의 저자는 ‘외’ 또는 ‘et al.’로 나타낸다.
예) (조 은 외, 1997: 201) 또는 조은 외(1997: 201)
예) (Ashcroft, et al., 1998: 18) 또는 애쉬크로프트 외(Ashcroft, et al., 1998: 18)
5) 동명 저자의 서로 다른 연구가 본문에 포함될 경우에는 저자명 뒤에 출판 연도를 구별 하여 표기한다. 동일 저자, 동일 연도의 다른 논문은 연도 뒤에 a, b로 구분한다.
예) 심영희(2002, 2004)는…
예) 조주현(2008a: 211)은…
6) 저자의 이름이 외국어인 경우 처음에만 원어 이름을 괄호 속에 넣고, 그 이후에는 한글 표기만 한다. 한글표기와 원어 이름 모두 성(last name)만 표기한다.
예) 아이젠슈타인(Einsenstein)은… 또는 아이젠슈타인은…
7) 외국인 저자의 번역서를 참고하였을 경우 저자명을 한글로 표기하고, 원서를 참고 하였을 경우 저자의 원명을 표기한다.
예) (크리스테바, 2006) 또는 (Kristeva, 2000)
3. 참고문헌 목록 작성 및 실례
1) 참고문헌 목록은 본문과 각주에서 언급된 것으로 제한한다.
2) 참고문헌 제시 순서는 표기 언어를 기준으로 하여 한글 문헌, 로마자로 표기되는 구미
어 문헌, 기타 언어(일본어, 중국어, 러시아어 등) 문헌 순으로 배열하며, 한국어 문
헌의 저자이름은 가나다순으로 제시하고, 외국어 문헌은 알파벳순으로 작성한다.(개정
2021.03.24.).
3) 저자나 편집자가 3인 이하인 경우는 모든 저자들의 이름을 표시한다.
4) 저자나 편집자가 4인 이상인 경우는 3인의 저자명을 쓰고 “외” 또는 “et al."을 쓴
다.
5) 편집된 서적의 경우 저자명을 쓰고 “엮음”으로 표기한다.
6) 동일한 저자의 문헌이 여러 개인 경우 연도순으로 배치하며, 같은 해에 발행된 문헌이 둘 이상인 경우에는 글에서 언급된 순서에 따라 발행 연도 뒤에 a, b, c를 첨가하여
구분한다.
7) 참고문헌에는 진한 글씨체를 사용하지 않는다.
8) 참고문헌의 서명, 출판사 등의 사이에는 쉼표를, 마지막에는 마침표를 찍는다.
9) 참고문헌은 내어쓰기 15pt.로 한다.
10) 발행 연도는 괄호 안에 넣는다.
11) 저자명이 영문인 경우 성(last name)을 먼저 쓰고 쉼표를 찍는다. 두 명 이상인 경우 에는 처음 저자명만 이 지침에 따르고 두 번째 부터는 이름, 성 순서로 표기한다.
12) 출판사 소재 도시와 출판사 이름 사이에 콜론(:)을 찍고 한 칸 띄어 쓴다.
13) 따옴표 다음에 쉼표를 찍는 경우 닫는 따옴표 뒤에 찍는다.
14) 단행본이나 잡지에 실린 논문은 맨 끝에 페이지를 명기한다. 이 때 한글인 경우에는 페이지 숫자 다음에 “쪽”이라고 쓰고, 영문의 경우 한 페이지면 “p."로 여러 페이 지는 ”pp."로 숫자앞에 쓴다. pp.와 숫자 사이는 한 칸 띄우고, 페이지 숫자와 숫자 사이에는 줄표(“―”하이픈)를 넣는다.
15) 미디어 및 인터넷 자료 인용 시, 제작자 혹은 발행기관, 제작 연도 혹은 발행 연도를 괄호를 이용해 표기하고, 웹주소(최종검색일)를 포함한 자세한 정보는 <참고문헌>에 기재한다.(신설 2021.03.24.)
16) 참고문헌의 종류에 따른 작성요령은 다음과 같다.
(1) 단행본
이효재(2003), 『조선조 사회와 가족: 신분상승과 가부장제 문화』, 서울: 한울아카
데미.
조은 ․ 조주현 ․ 김은실(2002), 『성 해방과 성 정치』,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Mohanty, C. T.(2004), Feminism Without Borders: Decolonizing Theory,
Practicing olidarity, Durham and London: Duke University Press.
Ashcroft, B., G. Griffiths, and H. Tiffin(1955), Post-colonial Studies: The Key Concepts, London: Routledge.
(2) 2인 이상 편집자의 단행본
오조영란 ․ 홍성욱 엮음(1999), 『남성의 과학을 넘어서: 페미니즘의 시각으로 본 과
학 ․ 기술 ․ 의료』, 서울: 창작과 비평사.
Treichler, P. A., L. Cartwright, and C. Penley(eds.)(1998), The Visible Woman: Imaging Technologies, Gender, and Science, New York: New York University Press.
(3) 2인 이상 편집자의 단행본에 있는 학술논문
윤정로 ․ 김명자(1999), “한국 여성 과학기술자들의 현실과 과제”, 『남성의 과학을
넘어서: 페미니즘의 시각으로 본 과학 ․ 기술 ․ 의료』, 오조영란 ․ 홍성욱 엮음, 서울: 창작과비평사, 174-208쪽.
Hartouni, V.(1998), "Fetal Exposures" , in The Visible Woman: Imaging Technologies, Gender, and Science, ed. P. A. Treichler, L. Cartwright, and C. Penley, New York: New York University Press, pp. 198-216.
(4) 학술 논문
박홍주 ․ 이은아(2004), “기혼여성노동자의 일 ․ 가족 경험과 직업의식”, 한국여성학 회, 『한국여성학』, 제20권 2호, 141-178쪽.
Brown, J. A., and M. M. Ferree(2005), "Close Your Eyes and Think of England: Pronatalism in the British Print Media" , Gender and Society, 19(1), pp. 5-24
(5) 학위 논문
조주은(2009), “중간계급 유배우 취업여성의 압축적 시간경험에 관한 연구”, 이화여 자대학교 대학원 여성학과 박사학위 논문.
(6) 번역서
버틀러, 주디스(2008), 『젠더 트러블: 페미니즘과 정체성의 전복』, 조현준 옮김,
파주: 문학 동네, Butler, J.(1990), Gender Trouble: Feminism and the Subversion of Identity, New York: Routledge.
(7) 출판 예전 논문 및 서적
출판 예정인 논문이나 서적은 출판 연도 대신 간행 예정이라고 표기한다.
(8) 학술대회 발표문
김경희(2005), “성 인지적 정책의 형성과 의미”, 한국여성학회 제 21차 추계학술대
회 자료집 발표문(2005.11.19).
(9) 인터넷 자료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2008), “계명여성학세미나”,
http://www.iws.or.kr/(검색일: 2008.5.2)
(10) 신문기사 ․ 잡지
김선희, 『여성신문』2004.1.3일자 사회면: 성폭력 근절 남성도 뛴다.
Walker, L. A. "The battered woman", New York Times, 23 July,1993.
17) 『국제학논총』 발간과 관련하여 이 규정에 명시되지 않는 기타 사항은 편집위원회가 심의, 결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