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四字漢語」의 品詞性-「二字漢語」의 경우와 比較하여-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Abbr : JLAK
  • 2004, (10), pp.147-161
  • Publisher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Research Area : Humanities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Uh Suk Lee 1

1영산대학교

Candidate

ABSTRACT

本稿는 「四字漢語」의 品詞性을 名詞性인 것(Noun:+N), 動詞性인 것(Verb:+V), 形容詞性인 것(Adjective:+A), 副詞性인 것(Adverb:+Ad)으로 大別하고, 辞典의 品詞의 認定基準과 用例를 바탕으로 한 筆者의 認定基準에 의해 日本語에 있어서의 「四字漢語」 1,317語를 対象으로 하여 그 品詞性을 調査․分析한 것이다. 이 考察을 통하여, 日本語에 있어서의「四字漢語」의 品詞性은 어떠한 類型으로 나타나며, 또 각 類型에 속하는 漢語에는 어떠한 特質이 있는지, 그리고 이들 漢語들이 品詞間의 連続性에서 어떻게 位置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二字漢語」의 경우와 比較하며 규명하려고 한다. 그 결과, 8種의 品詞性의 類型 및 類型別 漢語의 数와 그 例가 밝혀졌다. 그리고 各類型에 속하는 漢語의 特質에 대해 考察함으로써 하나의 漢語가 2개 以上의 品詞性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理由도 규명할 수가 있었다. 또한 名詞․動詞․形容詞․副詞 등의 4개의 인접하는 원으로 이루어지는 영역 속에서 品詞性이 連続하면서 位置하고 있음을 알 수가 있었다.

KEYWORDS

no data found.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