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000129},
author={Reiko Yoshida},
title={The contrastive study of Japanese and Thai-The expression of existence-},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05},
number={12},
pages={75-92}
TY - JOUR
AU - Reiko Yoshida
TI - The contrastive study of Japanese and Thai-The expression of existence-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05
VL - null
IS - 12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75
EP - 92
SN - 1229-7275
AB - 本稿에서는 존재표현을 중심으로 일본어와 타일랜드어의 대조연구를 한다. 대상으로 하는 文은, 일본어의 존재를 표현하는 アル/イル, 타일랜드어의 존재를 표현하는 mii/yùu가 사용되어진 문장이다.
우선, 1장에서는, 지금까지 행해졌던 연구를 나타내는 동시에, 타일랜드어의 mii의 위치를 생각해 본다.
2장에서는, 명사구의 존재를 나타내는 文에 대해서 고찰한다. 일본어의アル/イル와 타일랜드어의 mii/yùu에 대해서, 각각 분간하여 사용되는 기준을 제시하고,「~にAがアル」라고 하는 일본어의 존재문(存在文)에 mii가 대응하고,「Aは~にアル」라고 하는 소재문((所在文)에 yùu가 대응하는 것을 서술한다. 그리고, yùu의 구체적인 용법과 yùu와 일본어의 명사와 명사를 연결하는「の」와의 관련성을 지적한다. 더욱이 アル・mii에는 각각 상태술어(狀態述語)와 과정술어(過程述語)가 있는 것을 서술하여, 두 술어의 문법적구별의 방법을 고찰한다.
3장에서는, 명사절의 존재를 나타내는 文에 대해서 고찰한다. mii가 명사구뿐만 아니라, 명사절의 존재도 나타내는 것을 서술하여, 거기서부터, 일본어의「が」에 통하는 제시기능이 있는 것을 지적한다. 더욱이 존재문(存在文)에 있어서 mii의 유무와 그 밖의 동사문에 있어서 mii의 유무가 야기하는 의미의 차이에 대해서 논한다. 또한, 절을 이끄는 mii는 文을 명사화(名詞化)하고, 어떤 뉘앙스를 부가한다고 하는 점에서「…のだ」와 공유점을 갖는다는 것을 서술하고 있다.
KW -
DO -
UR -
ER -
Reiko Yoshida. (2005). The contrastive study of Japanese and Thai-The expression of existence-.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2, 75-92.
Reiko Yoshida. 2005, "The contrastive study of Japanese and Thai-The expression of existence-",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2, pp.75-92.
Reiko Yoshida "The contrastive study of Japanese and Thai-The expression of existence-"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2 pp.75-92 (2005) : 75.
Reiko Yoshida. The contrastive study of Japanese and Thai-The expression of existence-. 2005; 12 : 75-92.
Reiko Yoshida. "The contrastive study of Japanese and Thai-The expression of existence-"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2(2005) : 75-92.
Reiko Yoshida. The contrastive study of Japanese and Thai-The expression of existence-.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2, 75-92.
Reiko Yoshida. The contrastive study of Japanese and Thai-The expression of existence-.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05; 12 75-92.
Reiko Yoshida. The contrastive study of Japanese and Thai-The expression of existence-. 2005; 12 : 75-92.
Reiko Yoshida. "The contrastive study of Japanese and Thai-The expression of existence-"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2(2005) : 75-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