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On the Translation in Cheoppeshineo (PartⅡ)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Abbr : JLAK
  • 2005, (13), pp.129-140
  • Publisher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Research Area : Humanities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임창규 1

1제주한라대학

Candidate

ABSTRACT

첩해신어의 그 자료적 가치는 대단히 높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첩해신어일본어에 대응하는 한국어 번역에 대해서는 그 가치가 한층 낮다는 평가이다. 본고에서는첩해신어에 나타나는 몇몇 대표적인 어휘를 대상으로 하여, 어떠한 연유로 일본어를 직역하게 되었는지, 왜 당시의 국어로서도 부자연스러운 표현을 하게 되었는지, 그 배경과 목적은 무엇이었는지에 대하여 논한 것이다. 연구결과, 일본어에 대응하는 당시의 국어가 존재하더라도 일본어 고유어에 대해서는 그대로 직역함으로써 일본어 어휘교육도 동시에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확실한 목적의식에 기초한 것이었다고 논하였다. 더욱이 자연스러운 표현과 일본어를 직역한 것을 동시에 제시함으로써 양국언어에 있어서 어휘의 상이점 또한 가르치기 위한 것이며, 오직 교육적인 배려에 의한 직역이었다고 논하였다. 첩해신어가 당시 가장 뛰어난 일본어교재였던 만큼 한국어 번역에 대해서도 그 배경에는 고도의 교육적인 배려가 있었다는 것이다.

KEYWORDS

no data found.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