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002808},
author={임현수},
title={Communication function of 'ne' 'yo' 'yone'-on the fefusal discourse},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05},
number={13},
pages={141-163}
TY - JOUR
AU - 임현수
TI - Communication function of 'ne' 'yo' 'yone'-on the fefusal discourse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05
VL - null
IS - 13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141
EP - 163
SN - 1229-7275
AB - 거절장면에 출현하는 종조사 「ne」「yo」「yone」를 커뮤니케이션 기능 및 「Uchi・soto・yoso」의식, 남녀 차의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것을 밝혀낼 수 있었다.
1) 거절을 표명하기에 앞서, 「ne」「yo」「yone」를 삽입하여 상대에게 공감・이해・확인을 나타내는 담화 스트라티지는 회화 흐름의 템포를 늦추는 역할을 한다. 동시에, 이들의 사용은 상대의 요구를 곧바로 거절함으로써 발생하는 비정중한 말투를 약화시킴과 동시에 거절의 강약을 조절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돕는다.
2) 거절표현과 밀접히 관계하는 담화에 출연하는「ne」「yone」는, 직접적인 거절선언 형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대의 체면을 고려한 스트라티지라 할 수 있다. 한편, 「yo」는 명확하고 직접적인 거절을 표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3)「ne」「yo」는, 「Uchi・soto・yoso」라는 카테고리 사이에서 각각 사용빈도에 차이가 보인다. 「ne」는 「UchiⅡ・soto」장면에서 다용되고 있으며, 「yo」는 「Uchi(Ⅰ・Ⅱ)」장면에서 다용되고 있다. 적지 않은 일본어모어화자는 상대방과의 관계를 조절하면서 「ne」「yo」를 나누어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yone」에는 대인관계를 조절하는 기능이 명확히 나타나지 않았다.
4) 일본 남성의 경우는 「ne」와 「yo」를, 여성의 경우는 「yone」를 다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결과는, 「ne」「yo」「yone」의 기본적인 커뮤니케이션 기능의 상이를 비롯하여, 남녀가 각각 다용하고 있는 거절담화의 패턴 및 언어습관의 상이와 깊이 관계있다고 사료된다.
KW -
DO -
UR -
ER -
임현수. (2005). Communication function of 'ne' 'yo' 'yone'-on the fefusal discourse.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3, 141-163.
임현수. 2005, "Communication function of 'ne' 'yo' 'yone'-on the fefusal discourse",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3, pp.141-163.
임현수 "Communication function of 'ne' 'yo' 'yone'-on the fefusal discourse"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3 pp.141-163 (2005) : 141.
임현수. Communication function of 'ne' 'yo' 'yone'-on the fefusal discourse. 2005; 13 : 141-163.
임현수. "Communication function of 'ne' 'yo' 'yone'-on the fefusal discourse"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3(2005) : 141-163.
임현수. Communication function of 'ne' 'yo' 'yone'-on the fefusal discourse.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13, 141-163.
임현수. Communication function of 'ne' 'yo' 'yone'-on the fefusal discourse.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05; 13 141-163.
임현수. Communication function of 'ne' 'yo' 'yone'-on the fefusal discourse. 2005; 13 : 141-163.
임현수. "Communication function of 'ne' 'yo' 'yone'-on the fefusal discourse"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13(2005) : 141-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