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On the Communicative Functions in JAPANESE 2:Based on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Abbr : JLAK
  • 2003, (8), pp.163-180
  • Publisher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Research Area : Humanities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Cho, Nam sung 1

1한밭대학교

Candidate

ABSTRACT

본고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일본어Ⅱ의 4종 교과서의 각 단원 학습 목표인 의사소통 기능, 즉 그 항목과 예시문을 분석하였다. 그 주요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1)일본어Ⅱ에서 의사소통 기능 항목은 교과서B가 A·C·D보다 적다. 그리고 일본어Ⅰ과 일본어Ⅱ에서 [정보 전달의 기능]이 50% 정도에서 가장 높고, [담화 전개 기능]이 10% 미만으로 가장 낮다. (2)일본어Ⅱ에서 다용한 기능은, [정보 전달의 기능-전달, 희망·의향, 추측], [의사·태도 전달의 기능-놀람·이외의 기분], [요구 기능-확인] 등이다. 그리고 일본어Ⅱ에서만 사용되고 있는 항목은, [인사 기능-겸손], [정보 전달 기능-묘사, 의도, 가정], [의사·태도 전달의 기능-후회, 용서] 등이다. (3)의사소통 기능의 대다수 항목에는 일정의 문형·문법 사항이 포함되어 있다. (4)의사소통 기능의 예시문에서 나타난 문형·문법을 보면, [~かもしれません], [~そうだ(전문)], [~ね](4종의 교과서), [~か。], [~(は)どう(ですか/でしょうか)], [~が。], [~Vたことがあります(か)], [~Vましょう(か)], [~たい], [~たところ], [~よ](3종)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