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An Inquiry Into the Figure Pun in Japanese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Abbr : JLAK
  • 2005, (14), pp.153-168
  • Publisher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Research Area : Humanities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Yoon Sanghan 1

1히로시마대학

Candidate

ABSTRACT

본고는 「숫자 고로아와세」를 통해 만들어지는 숫자언어의 발생 배경과 과정을 고찰하고, 인터넷 조사를 통해 얻어진 용례를 바탕으로 한 숫자언어의 구조와 쓰임, 그리고 그림으로 글쓰기라는 면에서 이러한 언어가 지닌 문자조형적 특징 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숫자언어는 이전부터 언어유희로서 사용되던 「고로아와세」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숫자를 문자로 바꾸는 표현하는’ 프로세스와는 반대로 ‘문자를 숫자로 바꾸어 표현하는’ 과정에 의해 만들어졌다. 상업적인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던 이러한 「숫자 고로아와세」는 무선호출기라는 매체에 의해 문장을 표현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사용되었으며, 이 결과 무선호출기는 단방향이 아닌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 그 성격을 달리하게 되었다. 즉 매체가 언어를 만들어내고 다시 언어는 매체의 성격을 바꾼 것이다. 이렇게 무선호출기에 의해 만들어진 숫자언어는 이 후 다른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에서도 빈번히 사용되었는데 굳이 문자를 통해 표현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언어가 사용되는 데에는 복합적인 원인이 있다고 생각된다. 이것으로는 숫자의 발음이나 형태의 유사성에서 언어를 만들고 해독하는 재미를 추구하는 언어유희적 측면, 숫자라는 기호가 지닌 상형성을 개성적이고 간결한 표현으로 재구성하려는 측면, 한정된 문자 텍스트를 확대하기 위해 시지각적으로 익숙한 숫자를 이용하여 시인성을 높이려는 측면 등을 들 수 있다.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