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Speech level shifts in Japanese native speakers' convers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 shifts and vocabulary in utterances -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Abbr : JLAK
  • 2006, (17), pp.145-161
  • Publisher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Research Area : Humanities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하마바타시즈카 1

1나고야대학대학원

Accredited

ABSTRACT

스피치 레벨 쉬프트에 관한 연구는 지금까지도 많이 되고 있지만 그 대부분이 사회적 요소나 심리적 거리등의 쉬프트 요인과 쉬프트의 관계를 말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어떠한 어휘와 연결을 가지는 지 등에 관해서는 그다지 거론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피치 레벨 쉬프트와 발화문내의 어휘와의 관계성에 대하여 구문론적인 고찰을 시도했다. 쉬프트가 생길 때 어떠한 어휘가 문두 혹은 문중에 빈번하게 사용되는가. 生田·井出(1983)가 제시하고 있는 쉬프트의 요인 중의 하나 「사회적 콘텍스트」를 기초로 조사 협력자를 선정해서 조사를 실시했다. 2명의 주요 조사 협력자가 입장이 다른 3명과 각각 회화를 했다. 그러한 회화 데이터로 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쉬프트는 친한 친구와의 회화(여자끼리) 를 제외한 모든 회화에서 발생했다. 주요 조사 협력자 2명의 쉬프트문을 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 자신의 의견을 상대에게 강하게 전하고 싶을 때 그것을 표명하는 부사(「全然」「多分」 등)와 함께 문말은 보통체가 된다. 또 반복해서 의견을 말하거나 할 때도 그것들을 나타내는 접속사(「でも」「だから」)와 함께 문말은 보통체가 된다. 그리고 상대의 발언을 듣고 납득하고 이해했을 때나 놀랐을 때「そう」「あっ」등이 출현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말의 출현과 쉬프트의 관계를 보다 깊이 연구해 감으로써 문말의 새로운 기능을 찾아내게 될 것이다.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