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278023},
author={이경철 and baek hye young},
title={漢和辞典における慣用音表記の実像 },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08},
number={22},
pages={201-215}
TY - JOUR
AU - 이경철
AU - baek hye young
TI - 漢和辞典における慣用音表記の実像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08
VL - null
IS - 22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201
EP - 215
SN - 1229-7275
AB - 본고에서는 漢和辞典 6종을 대상으로 陽声・入声字의 慣用音분류에 대한 구체적인 실상을 파악하여, 慣用音으로 잘못 規定된 字音形에 대해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은 慣用音으로 분류할 수 없는 것이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1)두 가지 이상의 字音形으로 나타나는 韻에서 하나의 字音形만을 취함으로 인한 것
2)呉音・漢音・唐音을 慣用音으로 분류한 것
3)多音字에서 1音 採択으로 인한 것
4)通用字体 채용시 다른 자의 旧字体를 사용함으로 인한 것
5)舌内入声韻尾가「ツ」형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呉音이지만 慣用音으로 처리된 것
6)脣内入声韻尾가「ツ」형이나 促音「ッ」형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慣用音으로 처리된 것
KW -
DO -
UR -
ER -
이경철 and baek hye young. (2008). 漢和辞典における慣用音表記の実像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2, 201-215.
이경철 and baek hye young. 2008, "漢和辞典における慣用音表記の実像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2, pp.201-215.
이경철, baek hye young "漢和辞典における慣用音表記の実像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2 pp.201-215 (2008) : 201.
이경철, baek hye young. 漢和辞典における慣用音表記の実像 . 2008; 22 : 201-215.
이경철 and baek hye young. "漢和辞典における慣用音表記の実像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2(2008) : 201-215.
이경철; baek hye young. 漢和辞典における慣用音表記の実像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2, 201-215.
이경철; baek hye young. 漢和辞典における慣用音表記の実像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08; 22 201-215.
이경철, baek hye young. 漢和辞典における慣用音表記の実像 . 2008; 22 : 201-215.
이경철 and baek hye young. "漢和辞典における慣用音表記の実像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2(2008) : 20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