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왜학서 학습서류인 『伊路波』와 『捷解新語』의 공통 어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자료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어휘를 추출하고, 이 단어들이 당시 일본에서 사용되던 단어들인지 동시대 자료인 『日葡辭書』와 『時代別國語大辭典』 등과 비교 고찰하여 보았다. 그 결과 왜학서 학습서류의 공통 어휘는 총 32語가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명사가 13예로 가장 많았고, 동사가 12예, 부사가 4예, 형용사가 3예 순이었다. 위의 단어를 동시대 사전과 비교 조사해 보았는데 32語 모두 『日葡辭書』와 『時代別國語大辭典』 등에 나타나고 있어 당시 일본어를 잘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번 결과와 졸고(2008)에서의 결과 즉, 왜학서 사전류의 공통 어휘 170語중 98%가 당시 일본어를 반영하고 있었던 점을 통하여 왜학서의 일본어는 당시 일본어를 잘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또한 당시 역관들은 생생한 실용일본어를 공부했으리라 미루어 짐작해 볼 수 있었다.
어휘면에서 당시의 일본어를 잘 반영하고 있다면 문자,표기면, 문법면 등에서도 당시 일본어를 반영하고 있다고 예상해 볼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추후 조사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