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376308},
author={Kwangjoon Min},
title={自己モニター型の日本語発音学習システムの開発とその活用方法 },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09},
number={25},
pages={47-58}
TY - JOUR
AU - Kwangjoon Min
TI - 自己モニター型の日本語発音学習システムの開発とその活用方法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09
VL - null
IS - 25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47
EP - 58
SN - 1229-7275
AB - 본고에서는 자기평가 기능을 활용한 일본어 발음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결과와 그 학습 효과에 대한 검증 결과를 보고하기로 한다. 일본어 발음 학습 프로그램에 수록된 학습 항목은 청음과 탁음, ざ행음, 무성모음, つ의 발음, 촉음, 발음, 장모음, 악센트로, 각 항목의 학습 과정은 5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제1단계는 두 개(최소 대립어)의 음성을 듣고 그 차이를 인식하는 단계, 제2단계는 세 개의 단어의 발음을 듣고, 발음의 차이를 인식하는 단계, 제3단계는 두 개의 단어를 텍스트와 음성으로 제시하고 그 차이를 인식하는 단계, 제4단계는 제시된 단어의 텍스트를 보고 음성을 들은 다음, 학습자 본인의 발음을 녹음하여 모델 음성과 자신의 발음의 차이를 인식하는 단계, 제5단계는 랜덤으로 제시되는 두 개의 최소 대립어를 듣고 음성과 일치하는 텍스트를 선택하는 문제 풀이 단계이다. 자기평가형 일본어 발음 학습 프로그램을 이용한 학습 효과(ざ행음의 청취능력)를 검증하기 위해서 6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사전 테스트와 사후 테스트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한 결과, 5명의 학습자에서 청취능력 향상(평균 10%, 최고 27%, 최저 2%)이 관찰되었으며, 사전 테스트 성적이 낮은 학습자(3명)의 경우가 그렇지 않은 학습자(2명)에 비해서 청취 능력의 향상 폭(전자 18.7%, 후자 3.1%)이 크게 나타났다.
KW -
DO -
UR -
ER -
Kwangjoon Min. (2009). 自己モニター型の日本語発音学習システムの開発とその活用方法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5, 47-58.
Kwangjoon Min. 2009, "自己モニター型の日本語発音学習システムの開発とその活用方法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5, pp.47-58.
Kwangjoon Min "自己モニター型の日本語発音学習システムの開発とその活用方法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5 pp.47-58 (2009) : 47.
Kwangjoon Min. 自己モニター型の日本語発音学習システムの開発とその活用方法 . 2009; 25 : 47-58.
Kwangjoon Min. "自己モニター型の日本語発音学習システムの開発とその活用方法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5(2009) : 47-58.
Kwangjoon Min. 自己モニター型の日本語発音学習システムの開発とその活用方法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5, 47-58.
Kwangjoon Min. 自己モニター型の日本語発音学習システムの開発とその活用方法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09; 25 47-58.
Kwangjoon Min. 自己モニター型の日本語発音学習システムの開発とその活用方法 . 2009; 25 : 47-58.
Kwangjoon Min. "自己モニター型の日本語発音学習システムの開発とその活用方法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5(2009) : 47-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