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376313},
author={이경철},
title={日本漢字音の字音形に現れる拍の関与について -1拍と2拍の混在を中心に-},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09},
number={25},
pages={129-141}
TY - JOUR
AU - 이경철
TI - 日本漢字音の字音形に現れる拍の関与について -1拍と2拍の混在を中心に-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09
VL - null
IS - 25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129
EP - 141
SN - 1229-7275
AB - 본고에서는 日本漢字音에서 拍의 개입에 따른 字音形의 出現樣相 및 音韻現象에 나타나는 拍의 개입에 대해 1拍의 字音形과 2拍
의 字音形이 공통으로 출현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각 韻별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日本語는 漢字音의 流入段階에서부터 拍이 관여하
고 있었으며, 그 양상에 따라 字音形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日本語가 실라빔언어에서 모라언어로 변화한 것
이라고 보기는 어려우며, 漢字音 이식 이전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계속 모라언어였다고 판단된다. 漢字 1자를 대부분 1拍으로 表記
하는 古音의 특성에는 실라빔언어적 경향이 나타난다고 볼 수도 있지만, 이는 漢字音의 移植에 한반도인의 영향이 개입된 결과로 추
측된다. 즉 漢字 1자를 1音節로 받아들인 한반도인의 受容態度가 古音에 영향을 미쳐, 古音에서 1拍表記의 원칙이 나타난 것으로 판
단된다. 吳音 및 漢音의 表記에도 古音의 이러한 전통이 영향을 미쳐 2拍으로 나타나야 할 字音形이 1拍으로 출현하는 예를 볼 수 있
으며, 그러한 경향은 특히 漢音보다는 吳音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즉 같은 韻에서 1拍과 2拍의 字音形이 混在하는 이유는 二重母音 내지 長母音에 해당하는 原音을 日本人이 1拍으로 受容할 것인
가 아니면 2拍으로 受容할 것인가 하는 日本人의 受容態度에 따라 달라진 것이다. 단지 같은 韻의 字音形에서는 2拍의 字音形보다
는 1拍의 字音形이 좀더 전통적이고 보수적인 古層의 字音形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KW -
DO -
UR -
ER -
이경철. (2009). 日本漢字音の字音形に現れる拍の関与について -1拍と2拍の混在を中心に-.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5, 129-141.
이경철. 2009, "日本漢字音の字音形に現れる拍の関与について -1拍と2拍の混在を中心に-",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5, pp.129-141.
이경철 "日本漢字音の字音形に現れる拍の関与について -1拍と2拍の混在を中心に-"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5 pp.129-141 (2009) : 129.
이경철. 日本漢字音の字音形に現れる拍の関与について -1拍と2拍の混在を中心に-. 2009; 25 : 129-141.
이경철. "日本漢字音の字音形に現れる拍の関与について -1拍と2拍の混在を中心に-"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5(2009) : 129-141.
이경철. 日本漢字音の字音形に現れる拍の関与について -1拍と2拍の混在を中心に-.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5, 129-141.
이경철. 日本漢字音の字音形に現れる拍の関与について -1拍と2拍の混在を中心に-.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09; 25 129-141.
이경철. 日本漢字音の字音形に現れる拍の関与について -1拍と2拍の混在を中心に-. 2009; 25 : 129-141.
이경철. "日本漢字音の字音形に現れる拍の関与について -1拍と2拍の混在を中心に-"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5(2009) : 129-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