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376318},
author={Hajune Jeong},
title={推量系副詞の翻訳例に関する研究 },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09},
number={25},
pages={213-229}
TY - JOUR
AU - Hajune Jeong
TI - 推量系副詞の翻訳例に関する研究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09
VL - null
IS - 25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213
EP - 229
SN - 1229-7275
AB -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 추량계 부사 「たしか(に), きっと, たぶん, おそらく, まさか, もしかしたら, どうやら, あるいは, ぜったい(に)」가 한국어 번역문에서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일본어 추량계 부사의 한국어 번역례에 관한 일반적인 경향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고 할 수 있다.
「たしか(に), きっと」는 「분명(히)」, 「たぶん, おそらく」는 「아마(도)」, 「もしかしたら, あるいは」는 「어쩌면」, 「どうやら」는 「아무래도」, 「ぜったい(に)」는 「절대(로)」가 번역유형으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고 「たしか(に)」가 12가지로 가장 많은 번역유형을 가지고 있으며 「생략」유형이 가장 많은 8가지 일본어 추량계 부사의 번역유형으로서, 그 다음으로 「아마(도)」가 6가지 일본어 추량계 부사의 번역유형으로서 대응하고 있다.
「たしか(に), まさか, ぜったい(に)」의 번역문의 문말표현은 추량이 아닌 표현형식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고 문말표현이 추량표현형식인 경우, 「たしか(に)」의 번역문은 「지도 모르다」, 「まさか」는 「겠다」, 「ぜったい(に)」는 「겠다․고 생각하다․ㄹ 터이다」가 빈도 1순위로 사용되고 있다. 그 외에 「きっと, たぶん、おそらく」의 번역문은 「ㄹ 것이다」, 「どうやら」는 「것 같다․모양이다」, 「あるいは」는 「지도 모르다」가 빈도 1순위로 사용되고 있다.
「きっと」, 「たぶん」과 공기하는 문말표현형식의 경우, 일본어에서는 「非추량」이 한국어 번역문에서는 각각 거의 반 정도로 줄었는데 이것은 한국어 번역문에서는 「非추량」이 아닌 다른 추량표현형식으로 대체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추량계 부사와 공기하는 문말표현형식 중에서 「と思う」의 경우도 전체 36개 중에서 대응하는 한국어 표현형식이라고 할 수 있는 「고 생각하다」는 불과 7개밖에 되지 않으며 다른 추량표현형식으로 번역이 되어 있다.
KW -
DO -
UR -
ER -
Hajune Jeong. (2009). 推量系副詞の翻訳例に関する研究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5, 213-229.
Hajune Jeong. 2009, "推量系副詞の翻訳例に関する研究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5, pp.213-229.
Hajune Jeong "推量系副詞の翻訳例に関する研究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5 pp.213-229 (2009) : 213.
Hajune Jeong. 推量系副詞の翻訳例に関する研究 . 2009; 25 : 213-229.
Hajune Jeong. "推量系副詞の翻訳例に関する研究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5(2009) : 213-229.
Hajune Jeong. 推量系副詞の翻訳例に関する研究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5, 213-229.
Hajune Jeong. 推量系副詞の翻訳例に関する研究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09; 25 213-229.
Hajune Jeong. 推量系副詞の翻訳例に関する研究 . 2009; 25 : 213-229.
Hajune Jeong. "推量系副詞の翻訳例に関する研究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5(2009) : 213-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