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376321},
author={한중선},
title={韓國의 日本製漢字 受用 考察 },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09},
number={25},
pages={275-293}
TY - JOUR
AU - 한중선
TI - 韓國의 日本製漢字 受用 考察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09
VL - null
IS - 25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275
EP - 293
SN - 1229-7275
AB - 본고는 일본에서 만들어진 日本製漢字가 한국에 유입되어 현재까지 音과 訓이 어떻게 기술되고 있는가를 검토한 것이다. 한국의 한자 자전류에 어떤 종류의 日本製漢字가 어떻게 기술되고 있는가를 조사하고 또한 컴퓨터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日本製漢字의 사용과 문제점을 조사하여 정리한 것이다.
최초의 근대 한자자전으로 알려진 『國漢文新玉篇』에는 日本製漢字가 기록되어 있지는 않다. 이어서 출판된 『字典釋要』에는 日本製漢字가 수록되어 있다. 또한 1909년 일본에서 발행한 『同文新字典』에서 한자에 兪吉濬이 검토한 한글 음을 제공하고 있긴 하지만 이 역시 日本製漢字에는 한글 음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 본고에서는 개화기부터 일본군국주의시기에 사용된 한자자전을 조사하여 연구대상으로 삼은 것은 鄭益魯(1908.11.6)『國漢文新玉篇』, 池錫永(1909.07.15) 『字典釋要』, 朴重華(1912.5.15)『日鮮大字典』, 博文書館出版部·編纂(1944.2.20)『増補和鮮新玉篇(附音考)』이다. 본고의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한국에서 日本製漢字 사용에 있어서 일본어에는 없는 것이지만 한글 「音」과 「訓」의 표기를 통일하여 제시해 주어야 한다.
둘째, 인터넷과 컴퓨터 한자자전에는 일본에서 제작해 사용하는 한자라는 것을 표기해야 한다.
셋째, 컴퓨터상에서 日本製漢字를 입력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에 한자체 개발이 이루어 져야 한다.
금후의 과제로 일본에서 사용하는 모든 日本製漢字를 정리할 필요는 없지만 지금까지 한국에서 간행된 한자자전을 중심으로 조사 검토하여 체계적인 정리가 요구된다.
KW -
DO -
UR -
ER -
한중선. (2009). 韓國의 日本製漢字 受用 考察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5, 275-293.
한중선. 2009, "韓國의 日本製漢字 受用 考察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5, pp.275-293.
한중선 "韓國의 日本製漢字 受用 考察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5 pp.275-293 (2009) : 275.
한중선. 韓國의 日本製漢字 受用 考察 . 2009; 25 : 275-293.
한중선. "韓國의 日本製漢字 受用 考察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5(2009) : 275-293.
한중선. 韓國의 日本製漢字 受用 考察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5, 275-293.
한중선. 韓國의 日本製漢字 受用 考察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09; 25 275-293.
한중선. 韓國의 日本製漢字 受用 考察 . 2009; 25 : 275-293.
한중선. "韓國의 日本製漢字 受用 考察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5(2009) : 275-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