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502050},
author={Miyoung Nam},
title={連体修飾節の意味機能における属性 },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10},
number={29},
pages={67-77}
TY - JOUR
AU - Miyoung Nam
TI - 連体修飾節の意味機能における属性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10
VL - null
IS - 29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67
EP - 77
SN - 1229-7275
AB - 일시적인 상태(state)에 대해 고유의 특성과 상태를 나타내는 속성(property)은 문법연구에 있어서 의미적인 판단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효율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형용사적인 의미 특성이 잠재되고 있는 명사나, 개별적인 술어의 의미 특성에 관한 고찰에서 주로 도구적인 설명으로서 접할 수 있다. 또한, 연체수식절의 의미 기능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에서도 의미 분류의 기준의 하나로서 속성을 들 수 있는데, 고유한 특성을 드러내는 의미에서의 속성뿐만 아니라 거기에서 파생하여 각각의 의미 분류에 적합한 기준으로서 적용되고 있다. 연체수식 구문과 속성을 둘러싼 연구는 우선, 속성과 외연, 속성과 집합, 속성과 진술, 또는 사태 등을 들 수 있다.
본고는 이렇듯 속성이라고 하는 용어가 그대로 적용되는 것은 논의의 여지가 있다고 생각하고, 용어의 정리를 꾀했다. 그 고찰의 결과, 속성과 외연에 있어서의 속성은 고유 속성, 속성과 집합에 있어서의 속성은 주절술어한정의 속성으로 하고, 마지막에 속성과 진술 또는 사태의 속성은 의미적인 관점에서 벗어나는 점에서, 속성이라고 하는 용어는 피하고, 형용적인 상태라고 명명하기로 했다.
본고에서는 상기와 같은 고찰을 통해서, 지금까지, 일시적인 상태(state)에 대해서 고유의 특성과 상태를 나타내는 속성(property)이 너무나 편의에 의해 도구적으로 사용되었기에 그 문제점을 파악하고, 특히 연체수식 구문의 의미 기능을 이야기하는 분야에서 속성의 분별 적용을 어느 정도 정리했다고 주장하고 싶다.
KW -
DO -
UR -
ER -
Miyoung Nam. (2010). 連体修飾節の意味機能における属性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9, 67-77.
Miyoung Nam. 2010, "連体修飾節の意味機能における属性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9, pp.67-77.
Miyoung Nam "連体修飾節の意味機能における属性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9 pp.67-77 (2010) : 67.
Miyoung Nam. 連体修飾節の意味機能における属性 . 2010; 29 : 67-77.
Miyoung Nam. "連体修飾節の意味機能における属性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9(2010) : 67-77.
Miyoung Nam. 連体修飾節の意味機能における属性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9, 67-77.
Miyoung Nam. 連体修飾節の意味機能における属性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10; 29 67-77.
Miyoung Nam. 連体修飾節の意味機能における属性 . 2010; 29 : 67-77.
Miyoung Nam. "連体修飾節の意味機能における属性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9(2010) : 67-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