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502057},
author={이유진},
title={日本人学習者の韓国語音節の発話と知覚に及ぼす影響},
journal={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issn={1229-7275},
year={2010},
number={29},
pages={175-189}
TY - JOUR
AU - 이유진
TI - 日本人学習者の韓国語音節の発話と知覚に及ぼす影響
JO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PY - 2010
VL - null
IS - 29
PB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SP - 175
EP - 189
SN - 1229-7275
AB - 본고에서는 일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개․폐음절의 단어의 발화 및 지각 실험을 실시하여 음절구조가 모음지속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한국어 모어화자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발화의 경우 일본인 학습자는 학습기간과 상관없이 대체적으로 폐음절내의 모음 지속시간이 개음절내의 모음 지속시간 보다 단축되는 CSVS현상이 나타났다. 한편 개음절내의 모음 지속시간과 음절말 비음/ŋ/의 지속시간이 일본인 학습자가 발화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나타났다. 지각의 경우 초급 학습자는 선행음절의 모음 지속시간의 단축이 폐음절 단어의 지각을 억제하는 결과가, 중급 학습자는 선행음절의 모음 지속시간의 단축이 폐음절 단어의 지각을 촉진 또는 억제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특히 폐음절 단어를 지각하는데 있어서 한국어 모어화자는 선행음절의 모음 지속시간의 차이가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일본인 학습자의 경우는 음절말 비음의 지속시간 자체가 중요한 단서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W -
DO -
UR -
ER -
이유진. (2010). 日本人学習者の韓国語音節の発話と知覚に及ぼす影響.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9, 175-189.
이유진. 2010, "日本人学習者の韓国語音節の発話と知覚に及ぼす影響",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9, pp.175-189.
이유진 "日本人学習者の韓国語音節の発話と知覚に及ぼす影響"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9 pp.175-189 (2010) : 175.
이유진. 日本人学習者の韓国語音節の発話と知覚に及ぼす影響. 2010; 29 : 175-189.
이유진. "日本人学習者の韓国語音節の発話と知覚に及ぼす影響"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9(2010) : 175-189.
이유진. 日本人学習者の韓国語音節の発話と知覚に及ぼす影響.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9, 175-189.
이유진. 日本人学習者の韓国語音節の発話と知覚に及ぼす影響.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2010; 29 175-189.
이유진. 日本人学習者の韓国語音節の発話と知覚に及ぼす影響. 2010; 29 : 175-189.
이유진. "日本人学習者の韓国語音節の発話と知覚に及ぼす影響"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no.29(2010) : 175-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