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커뮤니케이션 방략의 명시적 지도가 학습자간의 일본어 회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 일본어학습자(JFL)를 대상으로-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Abbr : JLAK
  • 2010, (29), pp.213-227
  • Publisher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Research Area : Humanities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이현진 1

1상명대학교

Accredited

ABSTRACT

본고에서는 커뮤니케이션 방략(communication strategies, 이하 CS)지도가 학습자간의 일본어 회화에 미치는 영향을 사례연구를 통해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CS지도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주1회 60분간의 수업을 각CS별(‘바꿔 말하기’, ‘명확화 요구’, ‘이음말’, ‘맞장구’)로 4주간 실시하였으며, CS지도에 의한 학습자간 회화의 변화에 대해 ①발화량 및 침묵 시간, ②발화기능, ③선취발화, 에 주목하여 분석하였다. 학습자들은 CS학습 후, 일본어 회화에 자신감을 얻게 되었으며, 화자 뿐 아니라 청자로서도 적극적으로 커뮤니케이션에 참가하게 되었다. 그 결과, ①발화량 증가, 침묵 시간 감소, ②발화기능의 다양화, ③선취발화의 증가, 등의 변화가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CS지도가 학습자의 불안감 감소 및 적극적이고 자연스러운 커뮤니케이션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