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일본어 외래어악센트의 규칙 -窪薗晴夫氏의 규칙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Abbr : JLAK
  • 2012, (34), pp.137-151
  • Publisher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Research Area : Humanities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Lee, Seong Kun 1

1수원대학교

Accredited

ABSTRACT

일본어 외래어악센트에 있어서 적용되는 窪薗晴夫氏의 규칙 3가지에 대한 검토와 음절별 외래악센트에 대한 본 조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4mora어의 경우 語末에서 3번째 mora에 악센트의 核을 부여한다는 규칙은 유효하지만 ア˥クセス처럼 語末에서 3번째 mora가 特殊mora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頭高型악센트를 가지고 있는 예가 18%정도 있고 이러한 頭高型악센트에서는 …LLH라는 음절 구조별 특징으로 설명할 수 없는 예도 다수 존재한다. 둘째 語末이 軽音節의 연속으로 끝나는 4mora語는 平板化하기쉽다는 규칙도 4mora어에서 平板式 악센트로 나타나는 어휘에 대하여 조사해 본 결과 HL형이나 LH형으로 나타나는 유형에서도 平板化하는 비율이 54.5%로 나타날 뿐 아니라, 4mora어의 음절구조별 平板化率을 재조사해본 결과 LL형에서 20%, HL형에서는 18%, LH형에서는 10%의 비율로 平板化가 나타나 LL형의 平板化率이 다소 높다고는 할 수 있지만, HL형 및 LH형의 平板化率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이 규칙을 적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어 보인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본 조사를 통하여 외래어악센트에 적용될 수 있는 규칙을 정리해 보면 (1)2mora어 및 3mora어 악센트는 대부분이 頭高型으로 나타난다. (2)4mora어에서는 –3형인 ○○˥○○의 예가 많지만 語末에서 3번째 mora이 특수mora이 아닌 경우임에도 頭高型인 ○˥○○○형으로 나타나는 예도 적지 않다. (3)平板式 악센트는 4mora어・5mora에서만 약 10%정도 나타나며, 2mora어・3mora어 및 6mora어 이상의 多音節語에서는 平板式 악센트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6mora어 이상의 多音節 악센트에서는 頭高型도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4)외래어악센트는 mora數와 관계없이 尾高型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없다고 요약할 수가 있다.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