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영상번역을 통해 살펴본 회화 간 스피치 레벨 시프트의 번역양상 -영화『김종욱 찾기』의 한-일 대사를 중심으로-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Abbr : JLAK
  • 2013, (36), pp.207-225
  • Publisher : The Japanese Language Association Of Korea
  • Research Area : Humanities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Soyoung Choi 1

1한국외국어대학교

Accredited

ABSTRACT

본고에서는 한국 영화『김종욱 찾기』의 일본어 더빙본을 분석대상으로 주인공 회화의 문말에 나타난 스피치 레벨 시프트(speech level shift)의 번역양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스피치 레벨 시프트란 문말 대우(對遇)의 역할을 담당하는 문체인 스피치 레벨이 발화의 전개 속에서 이행(시프트)되는 것을 말한다. 일본어 뿐 아니라 한국어의 경우도 회화 시 발화자의 기본 스피치 레벨은 연령 또는 지위 등 사회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어 있다. 그런데 일본어의 경우, 회화에 앞서 선행돼 결정된 기본 스피치 레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회화의 전개에 따라 동일한 회화 안에서도 스피치 레벨 시프트가 발생하는 모습을 자주 관찰할 수 있다. 이는 말하자면 사회적 맥락에 의해 설정된 기본 스피치 레벨이 화자 스스로에 의해 선택된 다른 레벨로 시프트된 것으로 기본 스피치 레벨에 변화를 줌으로써 상대방과의 관계에 변화가 생겼음을 암시하는 단서라 볼 수 있다. 본고는 한국 영화『김종욱 찾기』의 두 주인공인 기준과 지우의 대화 속에 나타난 스피치 레벨 시프트에 주목한다. 초면의 두 사람이 하나의 사건을 함께 풀어나가는 과정 속에 상대에 대한 친소도에 변화가 생기는데 심적 거리감의 신장과 단축을 스피치 레벨 시프트의 발생 횟수와 양상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양상은 일본어 더빙본에서 더 많이 포착되었는데 이는 동일 담화 내에서도 문말 대우의 레벨이 유동적이라는 일본어의 특징이 번역된 더빙본에도 반영된 결과라 하겠다.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