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358473},
author={양언},
title={중세국어 ‘밋/믿’[及]의 분포 양상 및 의미 - ≪소학언해≫의 용례를 중심으로},
journal={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ssn={1229-3946},
year={2008},
volume={45},
number={1},
pages={73-90},
doi={10.23016/kllj.2008.45.1.73}
TY - JOUR
AU - 양언
TI - 중세국어 ‘밋/믿’[及]의 분포 양상 및 의미 - ≪소학언해≫의 용례를 중심으로
JO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PY - 2008
VL - 45
IS - 1
PB - 국어문학회
SP - 73
EP - 90
SN - 1229-3946
AB - 說周知,現代韓國語的“및”作爲連接兩個或者幾個名詞句(NP)的接續
副詞,其用法相對單純。但是上溯到中世國語,我們不難發現“및”的分布情況
和意義與現代韓國語存在較大的差異。“및”是諺解漢文時直譯漢文“及”造成的
結果。 因此本文以直譯特點突出的≪小學諺解≫爲例,詳細闡明了中世國語中
的“및”的分布情況和意義。根據“및”前後連接的成分的關系,或者由“및”引導
的分句和後面分句的關系,將“및”的分布情況分成對等型(A型)和從屬型(B
型)兩種類型。對等型中又根據連接成分的性質分成名詞句對等型和動詞句對
等型。從屬型中根據“및”引導的分句後面連接的成分不同分爲助詞從屬型和語
尾從屬型。現代韓國語的“및”表示“包括,包含”的意思。在中世國語中也能發
現這種用法。但是中世國語中的“및”還能表示“選擇”和“到達某一時間”的意
思。這種用法和現代韓國語異。當然這也是由於“및”是直譯漢文“及”而造成
的結果。
KW -
DO - 10.23016/kllj.2008.45.1.73
ER -
양언. (2008). 중세국어 ‘밋/믿’[及]의 분포 양상 및 의미 - ≪소학언해≫의 용례를 중심으로.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45(1), 73-90.
양언. 2008, "중세국어 ‘밋/믿’[及]의 분포 양상 및 의미 - ≪소학언해≫의 용례를 중심으로",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vol.45, no.1 pp.73-90. Available from: doi:10.23016/kllj.2008.45.1.73
양언 "중세국어 ‘밋/믿’[及]의 분포 양상 및 의미 - ≪소학언해≫의 용례를 중심으로"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45.1 pp.73-90 (2008) : 73.
양언. 중세국어 ‘밋/믿’[及]의 분포 양상 및 의미 - ≪소학언해≫의 용례를 중심으로. 2008; 45(1), 73-90. Available from: doi:10.23016/kllj.2008.45.1.73
양언. "중세국어 ‘밋/믿’[及]의 분포 양상 및 의미 - ≪소학언해≫의 용례를 중심으로"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45, no.1 (2008) : 73-90.doi: 10.23016/kllj.2008.45.1.73
양언. 중세국어 ‘밋/믿’[及]의 분포 양상 및 의미 - ≪소학언해≫의 용례를 중심으로.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45(1), 73-90. doi: 10.23016/kllj.2008.45.1.73
양언. 중세국어 ‘밋/믿’[及]의 분포 양상 및 의미 - ≪소학언해≫의 용례를 중심으로.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2008; 45(1) 73-90. doi: 10.23016/kllj.2008.45.1.73
양언. 중세국어 ‘밋/믿’[及]의 분포 양상 및 의미 - ≪소학언해≫의 용례를 중심으로. 2008; 45(1), 73-90. Available from: doi:10.23016/kllj.2008.45.1.73
양언. "중세국어 ‘밋/믿’[及]의 분포 양상 및 의미 - ≪소학언해≫의 용례를 중심으로"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45, no.1 (2008) : 73-90.doi: 10.23016/kllj.2008.45.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