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691836},
author={KIM YOUNGHAK and Lee Yong Wook},
title={동양 사상과 한국형 판타지 - 영화 『전우치론』},
journal={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ssn={1229-3946},
year={2012},
volume={53},
number={53},
pages={239-264},
doi={10.23016/kllj.2012.53.53.239}
TY - JOUR
AU - KIM YOUNGHAK
AU - Lee Yong Wook
TI - 동양 사상과 한국형 판타지 - 영화 『전우치론』
JO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PY - 2012
VL - 53
IS - 53
PB - 국어문학회
SP - 239
EP - 264
SN - 1229-3946
AB - 한국 영화의 역사는 벌써 90년이 넘었다. 그러나 그간 한국 영화사에서 한국 판타지는 인기를 얻지 못했다. 유독 한국 영화계에서 판타지가 사랑을 받지 못한 데는 그간의 한국 판타지가 중국무협 일변도의 장르 영화로 양산된데다, 막대한 자본을 토대로 하는 수준 높은 CG의 결핍 등이 적지 않은 이유로 거론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동훈 감독은 한국 판타지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최동훈 감독의 <전우치> 는 고전소설 『전우치전』과 다양한 설화를 차용해영상화한 작품이다. 그간 고전문학의 영상화에 있어 『춘향전』 『홍길동전』 『장화홍련전』에 집중되었다면 『전우치전』의 <전우치>로의 영상화는 첫 시도이면서 흥행을 일궈냈다는 점은 적지 않은 의미를 지닌다. 『춘향전』 등의 작품을 시대성을 반영해 개작 영상화하는 것도 의미가 있지만, 『전우치전』과 같이아직 시도된 적이 없는 작품을 시대성을 반영해 영상화한다는 것은 우리 문학에도 현대의 정서와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가 있음을 드러내는 동시에 잊혀 가는 고전문학을 다시금 유통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된다.
최동훈 감독은 ‘최초의 한국형 히어로 무비’라는 타이틀에 걸맞게 동양적소재를 화소로 서사화했다. <전우치>에 내재한 동양 사상은 윤회 도가사상 ‘숙명론적 세계관’이다. 윤회는 업을 중심으로 죽었다가 다시 태어나는생의 반복을 말한다. 이러한 사상을 토대로 전우치 에서 600년이 넘는 시간동안의 생의 지속 또는 환생 서사에 대한 사유를 풀어내고 있다. ‘도가사상’은도(道)를 천하의 근본 원리로 삼는데 <전우치>에서 꿈과 현실의 모호성을도(道)를 기준으로 풀어내고 있다. 숙명론적 세계관 은 운명에 순응하는 전통적인 한국인의 가치관으로 불교의 윤회사상을 비롯해 무교와 유교의 영향에기인한다 운명에 순응하는 전통적인 세계관이 <전우치>에서는 젊었을 때무당이었던 할머니의 예언과 서인경 화담의 태도를 통해 잘 드러나고 있다.
<전우치>가 갖고 있는 또 하나의 의의는 이미 전작 범죄의 재구성<타짜>에서 캐릭터 창출 능력을 인정받고 있는 최동훈 감독이 <전우치>를통해서 또 한 번 개성적 인물을 창출했다는 것이다. <전우치>에 나타난 개성적 인물은 ‘전우치’, ‘초랭이’, ‘세 신선’이다. 특히 ‘전우치’는 ‘슈퍼맨’, ‘원더우먼‘, ’배트맨‘, ’스파이더맨‘ 등과 같은 할리우드 초영웅과도 다르다 할리우드초영웅이 절대적 선으로 개인과 거리감을 느껴지게 만드는데 반해 전우치는악동적 기질을 가지고 있고 끊임없이 자신을 드러내고 싶어하고 최고의 도사가 되기 위한 욕망뿐 아니라 직위와 감투에도 관심을 갖는 세속적 욕망의인물이다.
이와 같이 고전문학 및 설화의 유통에 힘을 싣고 있을 뿐 아니라 동양적사상을 근간으로 한국 판타지의 가능성을 열고, 한국형 히어로를 창출했다는점에서 <전우치>는 가치가 큰 작품이라 할 수 있다.
KW -
DO - 10.23016/kllj.2012.53.53.239
ER -
KIM YOUNGHAK and Lee Yong Wook. (2012). 동양 사상과 한국형 판타지 - 영화 『전우치론』.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53(53), 239-264.
KIM YOUNGHAK and Lee Yong Wook. 2012, "동양 사상과 한국형 판타지 - 영화 『전우치론』",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vol.53, no.53 pp.239-264. Available from: doi:10.23016/kllj.2012.53.53.239
KIM YOUNGHAK, Lee Yong Wook "동양 사상과 한국형 판타지 - 영화 『전우치론』"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53.53 pp.239-264 (2012) : 239.
KIM YOUNGHAK, Lee Yong Wook. 동양 사상과 한국형 판타지 - 영화 『전우치론』. 2012; 53(53), 239-264. Available from: doi:10.23016/kllj.2012.53.53.239
KIM YOUNGHAK and Lee Yong Wook. "동양 사상과 한국형 판타지 - 영화 『전우치론』"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53, no.53 (2012) : 239-264.doi: 10.23016/kllj.2012.53.53.239
KIM YOUNGHAK; Lee Yong Wook. 동양 사상과 한국형 판타지 - 영화 『전우치론』.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53(53), 239-264. doi: 10.23016/kllj.2012.53.53.239
KIM YOUNGHAK; Lee Yong Wook. 동양 사상과 한국형 판타지 - 영화 『전우치론』.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2012; 53(53) 239-264. doi: 10.23016/kllj.2012.53.53.239
KIM YOUNGHAK, Lee Yong Wook. 동양 사상과 한국형 판타지 - 영화 『전우치론』. 2012; 53(53), 239-264. Available from: doi:10.23016/kllj.2012.53.53.239
KIM YOUNGHAK and Lee Yong Wook. "동양 사상과 한국형 판타지 - 영화 『전우치론』"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53, no.53 (2012) : 239-264.doi: 10.23016/kllj.2012.53.53.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