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774071},
author={Jeong, Ok Hee},
title={The History of Dance Representation on North American TV},
journal={The Korean Journal of Dance Studies},
issn={1226-900X},
year={2013},
volume={42},
number={3},
pages={117-142},
doi={10.16877/kjds.42.3.201305.117}
TY - JOUR
AU - Jeong, Ok Hee
TI - The History of Dance Representation on North American TV
JO - The Korean Journal of Dance Studies
PY - 2013
VL - 42
IS - 3
PB - The Korean Society for Dance Studies
SP - 117
EP - 142
SN - 1226-900X
AB - 본 연구는 미국 텔레비전 무용 프로그램의 역사를 거시사적 관점에서 서술한다. 1930년대 상업화된 텔레비전이 널리 보급된 이후 무용은 다양한 형식과 방법을 통해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주요 콘텐츠가 되어왔다. 텔레비전에서 무용이 재현되는 방식의 역사를 주요 전환점을 중심으로 재구성해보면 크게 상업성과 공영성의 가치 사이에서 변증법적인 변화과정을 거쳤음을 알 수 있다. 즉, 텔레비전의 초기 단계부터 상업방송채널을 중심으로 춤의 오락적 가치가 소비되었다면, 1952년 미국교육방송(National Educational Television and Radio Center, NET)이 출범하고 1967년 공영방송법이 발효되어 공영방송이 활성화되면서 춤에 대한 교육적, 공영적 접근이 활성화되었다. 그러나 이후 90년대 이후 케이블 TV를 중심으로 이른바 “리얼리티 TV” 프로그램들이 크게 유행하고 공영방송에서의 무용 프로그램들이 침체되면서 다시금 춤은 상업방송의 오락적 요소로 소비되는 패턴을 보인다. 이러한 텔레비전 무용 프로그램의 변증법적 변화의 역사는 간헐적으로 등장하는 무용 프로그램을 바라볼 수 있는 기초적 배경을 제공해줄 뿐 아니라 무용 프로그램의 성격과 특징이 사회문화적 요인 및 제도적 변화에 따라 크게 영향받아왔음을 일깨워준다.
국내 텔레비전 무용 프로그램의 역사, 편수, 다양성은 하나의 담론을 형성할 만큼 풍부하지 않다. 무용 및 다른 공연예술을 소개해온 <예술의 광장(EBS, 1992-2004, 2007- )>를 제외하고는 이렇다할 정규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최근 유행하는 무용 리얼리티 TV 프로그램 역시 해외 프로그램의 포맷을 직수입하거나 변용시킨 것이라는 점에서 자생적 담론을 형성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상황은 본 연구가 국내 매스미디어 상의 무용 연구를 위한 선결과제로 우선 미국의 사례를 종합하여 소개하는 주요원인으로 작용했다. 미국 텔레비전 무용 프로그램이 한국의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역사와 다양한 포맷을 지닐 뿐 아니라 최근 한국에서도 유행하는 <댄싱 위드 더 스타>나 <갓 탈렌트> 등의 무용을 주요 소재로 한 리얼리티 쇼 프로그램들이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활성화되어 세계적으로 전파되었다는 점에서 미국의 사례를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텔레비전의 역사 속에서 무용을 비롯한 예술 장르는 텔레비전의 담론이 공영성과 상업성 중에서 어디로 치우치느냐에 영향받아 매우 다른 방식으로 재현되어 왔으며, 특히 미국 텔레비전 무용 프로그램의 경우 상업성-공영성-상업성의 가치가 변증법적 변화를 거치면서 오늘날에 이르렀다. 이러한 거시사적 틀거리는 현재 한국의 케이블 채널을 중심으로 유행하는 리얼리티 무용 프로그램 현상에 대해 세계적, 역사적 맥락에서 위치지울 수 있게 해준다. 또한 텔레비전에서의 무용 노출빈도의 증가가 무용관객 증가로 이어질 것이라는 단순한 기대를 넘어 매스 미디어로서 텔레비전이 지니고 있는 특성으로 인해 무용 프로그램이 태생적으로 지닐 수 밖에 없는 딜레마에 대해 보다 복합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최근 리얼리티 무용 프로그램들이 텔레비전 초기 역사의 상업방송에서 무용을 재현해온 방식과 공유점이 많으면서도 차별화되는 지점을 정확히 짚어낼 때 텔레비전 무용 프로그램에 대한 논의가 소모적으로 반복되지 않고 풍부해질 수 있다는 점에 기초조사로서의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KW - dance representation;TV dance program;variety show;educational television;reality TV
DO - 10.16877/kjds.42.3.201305.117
ER -
Jeong, Ok Hee. (2013). The History of Dance Representation on North American TV. The Korean Journal of Dance Studies, 42(3), 117-142.
Jeong, Ok Hee. 2013, "The History of Dance Representation on North American TV", The Korean Journal of Dance Studies, vol.42, no.3 pp.117-142. Available from: doi:10.16877/kjds.42.3.201305.117
Jeong, Ok Hee "The History of Dance Representation on North American TV" The Korean Journal of Dance Studies 42.3 pp.117-142 (2013) : 117.
Jeong, Ok Hee. The History of Dance Representation on North American TV. 2013; 42(3), 117-142. Available from: doi:10.16877/kjds.42.3.201305.117
Jeong, Ok Hee. "The History of Dance Representation on North American TV" The Korean Journal of Dance Studies 42, no.3 (2013) : 117-142.doi: 10.16877/kjds.42.3.201305.117
Jeong, Ok Hee. The History of Dance Representation on North American TV. The Korean Journal of Dance Studies, 42(3), 117-142. doi: 10.16877/kjds.42.3.201305.117
Jeong, Ok Hee. The History of Dance Representation on North American TV. The Korean Journal of Dance Studies. 2013; 42(3) 117-142. doi: 10.16877/kjds.42.3.201305.117
Jeong, Ok Hee. The History of Dance Representation on North American TV. 2013; 42(3), 117-142. Available from: doi:10.16877/kjds.42.3.201305.117
Jeong, Ok Hee. "The History of Dance Representation on North American TV" The Korean Journal of Dance Studies 42, no.3 (2013) : 117-142.doi: 10.16877/kjds.42.3.201305.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