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23 KCI Impact Factor : 1.02
-
pISSN : 2466-2542
- https://journal.kci.go.kr/liss
pISSN : 2466-2542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Library Collections and Services in College Libraries: - the Case of S-Women’s College Library -
1경일대학교
전문대학의 교육목적은 사회 각 분야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과 이론을 교수‧연구하고 재능을 연마하여 국가사회의 발전에 필요한 전문직업인을 양성하는 것이다(고등교육법 제47조). 현 정부는 출범초기부터 전문대학을 고등직업교육의 중심축으로 산재된 직업교육을 매개하도록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바 있다. 이에 전국의 전문대학은 급변하는 지식정보사회에 부응할 수 있는 자질과 능력 및 교양을 갖춘 전문직업인을 양성하는 동시에 전문대학 졸업 자의 계속교육을 위한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을 도입, 현직 종사자의 재교육 및 평생학습교육 등을 통하여 국가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전문대학 교육의 중심에 전문대학도서관이 있고 마땅히 자타가 기대하는 역할과 책임이 존재한다. 그러나 전문대학이 4년제 대학과 더불어 주요한 전문인력 양성기관임에도 불구하고 도서관은 시설, 인력, 장서, 이용률, 예산 등 여러 지표가 열악하여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에는 역부족이다. 구체적으로 한국도서관연감(2013)에 집계된 통계 수치를 바탕으로 4년제 대학도서관(285개)과 전문대학도서관(138개)의 규모변수를 비교해보면, 1개관당 평균 건물연면적은 646,772㎡ 대 2,551㎡, 열람석수는 95,092석 대 481석, 사서수는 6.47명대 1.36명, 이용자수는 523,416명 대 84,152명이다. 특히 장서는 그 격차가 더욱 커서 단행 본은 427,071책 대 86,362책, 비도서자료 19,731점 대 4,177점, 연속간행물 574종 대 148종, 전자자료 35,400종 대 5,657종에 그치고 있어 과연 고등직업교육의 중심축으로 그 역할을 다할 수 있을지 걱정스러운 현실이다.
지금까지 수행된 전문대학도서관과 관련된 연구는 전문대학도서관 운영 일반 및 개선방안 관련연구
이에 본 연구는 전문대학 재학생의 도서관 이용도와 상대적 중요성, 만족도 등을 조사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전문대학도서관이 직면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전문대학의 교육특성과 목표를 반영한 장서개발 전략과 서비스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료와 서비스 부분에 우선적으로 이용자의 인식을 분석 하고 요구 사항을 반영하여 보완책을 마련하고자 한다. 따라서 시설 및 공간에 대한 인식도는 제외하였으며, 한 대학의 사례에 불과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는 무리가 있으므로 후속연구를 통하여 이러한 한계의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S여대도서관의 자료 및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4개 계열 16개 학과(전공) 학생을 조사대상으로 삼았다. 조사방법으로는 설문지법을 채택하였으며 2013년 4월에 1주일간(4. 16 ~4. 21) 예비조사를 거쳐 설문지를 수정 및 보완한 다음, 5월 1일부터 2주일간 재학생 3,442명 가운데 학과별 안배를 위해 모집단을 의미 있는 계층으로 나눈 다음 각 계층으로부터 무작위 추출하는 층화표집법(stratified sampling)을 이용 하여 각 학과 및 학년을 고려하여 700명(전체 재학생의 20.3%)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조사 하였다.
설문조사는 16개 학과(전공)별로 전공수업 전후에 강의실을 방문하여 양해를 구하고 설문의 취지 및 문항에 대한 용어설명을 한 다음 실시하였다. 설문지 회수 후 응답이 불성실한 40부를 제외한 660건을 분석대상으로 삼았으며, 학년 및 학과(계열)별 인구통계는
관련 선행연구 및 문헌 조사와 예비조사를 거쳐 보완한 설문지는
회수된 질문지는 SPSS Statistics 22.0을 이용하여 빈도 및 기술통계를 산출하고, 학년별 (1학년, 2학년)평균차이 검증을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전공계열별(인문사회, 자연, 미디어영상, 디자인) 평균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설문의 신뢰성(reliability)은 측정도구로 구성하고 있는 각 문항들 사이의 상관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회과학연구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크론바흐 알파(Chronbach's alpha) 계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신뢰성은 일반적으로 0.6 이상이면 내적 일관성을 나타 내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 사용한 변수별 신뢰성계수는 0.823으로 비교적 양호한 내적 일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S여대도서관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빈도 및 중요성, 이용목적 및 불만족 요인, 도서관의 자료와 서비스의 인식도에 대한 기술통계를 요약하면
먼저 도서관 이용빈도에 대한 응답평균은 2.10으로 재학생의 도서관 이용이 월 4회 미만으로 자주 이용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교내 다른 부속기관에 비하여 도서관이 차지하는 상대적 비중(2.65)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S여대 조직도상에 나타난 학술정보센터(도서관)를 제외한 교내 부속기관으로 교수학습센터, 학생서비스센터, 사회봉사단, 장애학생지 원센터, 다문화학생지원센터, 취업역량개발센터, 평생교육원, 뉴미디어디자인센터, 유아교육 연구소, 중소기업경영연구소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른 교내 기관에 대한 만족도는 조사하지 않아 도서관만 만족도가 낮게 나타난 것인지 파악할 수 없으나, 도서관 이용빈도와 더불어 도서관의 상대적 중요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재학생은 도서관을 자주 방문하지 않고 또 중요하지 않은 교내 기관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음으로 도서관 자료에 대한 인식도는 도서관 장서의 학습 기여도(3.09)가 중위수 3을 약간 상회하였으며, 그 외 교양 자료의 충분성(2.95), 연속간행물의 만족도(2.93), 비도서자료의 만족도(2.89), 학습 자료의 충분성(2.88), 자료의 최신성(2.80), 취업정보의 만족도(2.76)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서비스에 대한 인식도의 경우 대출절차의 만족도(3.33)가 가장 높았으며, 도서관 주최 문화행사(3.18), 1인당 대출책수의 만족도(3.16), 정보활용교육의 만족도(3.08), 도서관 직원 태도에 대한 만족도(3.03), 도서관이용교육의 만족도(3.03) 순으로 중위수를 조금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서의 전문성에 대한 만족도(2.93), 도서관 이용시간의 만족도(2.93), 문헌복사서비스 및 상호대차(2.91), 희망도서구입신청의 편리성과 신속성 (2.89), 도서관 홈페이지 구성(2.89), 도서관의 접근성(2.76), 대출기간(2.58)의 만족도는 중위수를 밑돌고 있어 서비스의 개선이 필요한 사항으로 여겨진다.
요컨대 S여대도서관 이용자들은 위의
S여대도서관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빈도 및 중요성, 이용목적 및 불만족 요인, 도서관의 자료와 서비스의 인식도 평균을 학년별(1학년, 2학년)로 비교해보면
한편 2학년은 6개(장서의 학습 기여도, 도서관 이용교육, 정보활용교육, 1인당 대출책수, 대출절차, 도서관 주최 문화행사) 항목의 평균값이 중위수인 3점을 넘었으며 그 외 다른 항목 에서는 전반적으로 낮은 평균값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2학년이 전공 교과를 1년 이상 이수하고 전문대학의 특성상 2학년부터 진학 및 취업을 준비하며 그로 인하여 도서관의자료 및 서비스에 대한 기대치는 상승하지만, 현실적으로 그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반면, 도서관 주최 문화행사에 대한 만족도는 2학년이 도서관이 주관하는 여러 문화행사에 참여한 경험으로 인하여 1학년 응답 평균보다 다소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학년별 인식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t-검정을 실시한 결과
먼저 도서관 이용빈도와 상대적 중요성에 대한 학년간 평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음으로 자료영역의 경우는 비도서자료와 연속간행물의 만족도를 제외한 나머지 5개(학습자료, 교양자료, 자료의 최신성, 장서의 학습 기여도, 취업정보) 항목에서 1학년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이러한 이유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학교도서관과 비교하여 대학도서관은 학습자료 및 교양자료가 상대적으로 많은 편에 속하며 이에 대한 학습 기여도가 높아질 수 있다는 기대감을 반영한 결과로 해석된다. 즉 1학년은 전공기초자료 및 교양자료가 주로 필요하고 또 현재 도서관 소장자료에 대해서 2학년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높다. 반면, 2학년은 최신성을 담보한 학습자료 및 교양 자료에 있어 학습기여도가 놓은 전공심화자료를 원하고 있으며, 추가로 취업을 대비하여 산업동향 및 취업관련 자료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서관 서비스 영역의 경우는 7개(도서관 직원의 태도, 문헌복사서비스 및 상호 대차, 도서관 이용시간, 1인당 대출책수, 대출기간, 대출절차, 도서관의 접근성) 항목의 평균이 학년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대출절차를 제외한 나머지 6개 항목은 1학년이 2학 년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2학년은 도서관 이용교육과 정보활용교육 등의 참여 기회가 1학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그동안의 도서관 이용경험으로 인하여 대출기간 및 대출절차에 대해서도 익숙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재학생의 도서관 이용빈도 및 상대적 중요성, 도서관 자료와 서비스에 대한 인식도 평균을 전공 계열별(인문사회, 자연과학, 미디어 영상, 디자인)로 비교하면
먼저 도서관 이용빈도는 인문사회계열(2.39), 자연과학계열(2.20), 디자인계열(1.94), 미디어영상(1.88) 계열 순으로 높게 인식하였다. 도서관의 상대적 중요성도 인문사회계열(2.87), 자연과학계열(2.68), 디자인계열(2.58), 미디어영상계열(2.46) 순으로 높게 인식하였다.
한편
이러한 4개 계열별 이용자 인식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다변량 분산분석 기법으로 검정한 결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서관 이용빈도와 도서관의 상대적 중요성은 인문사회계열, 자연과학계열, 디자인계열, 미디어영상계열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유아교육과, 문헌정보과, 경영과, 관광과, 비서행정과 등이 속한 인문사회계열 학생은 도서관을 이용한 빈도가 높았으며 상대적으로 도서관의 중요성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에, 영상컨텐츠과, 음악컨텐츠과, 미디어 문예창작과, 댄스 스포츠과 등이 속한 미디어영상계열 이용자는 예체능 관련 전공의 특성상 실습수업이 많아 상대적으로 도서관 이용빈도 및 중요성을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자료영역의 경우는 전공(학습)자료와 교양자료의 충분성, 장서의 학습 기여도에 대한 인식도는 자연과학계열, 인문사회계열, 디자인계열, 미디어영상계열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자연과학계열에 속한 유아교육학과는 대학설립초기에 개설된 학과로 타 전공과 비교할 때 비교적 많은 장서를 갖추고 또 지원받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도서관 서비스 영역에서 정보활용교육의 만족도는 인문사회계열 평균이 현저히 높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3개 계열의 평균은 거의 비슷하다. 다른 계열에 비하여 인문사회계열 전공자의 인식도가 높은 것은 타계열 이용자에 비하여 도서관 이용빈도가 높고 과제해결이나 학습을 위한 정보활용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지하고 적극적으로 도서관프로그램을 이용한 결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인문사회계열에 속한 문헌정보과는 전공수업에서 정보활용교육 과목이 개설되어 있어 전체 평균값에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되며, 이는
한편 대출기간의 만족도는 디자인계열, 미디어영상계열, 자연과학계열, 인문사회계열 순으로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재학생은 3책 1주일이라는 대출기간이 주어 지는데 인문사회계열과 자연과학계열 이용자의 경우는 1주일이라는 대출기간을 다소 짧다고 생각하여 불만족하고 있는 반면, 디자인 및 미디어영상 계열 이용자는 도서관 자료에 대한 의존도와 기대치도 낮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대출절차에 대한 만족도는 인문사회계열, 자연과학계열, 디자인계열, 미디어영상계열 순으로 높았으며, 인식도 평균이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도서관의 접근성에 대한 만족도는 인문사회계열, 자연과학계열, 디자인계열, 미디어 영상계열 순으로 평균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조사 대상 도서관은 독립된 건물이 아닌 강의동 별관 6층의 후미진 곳에 위치하여 계열 및 학과별 강의실과 학과실, 또 학생들의 생활반경에서 비교적 동선이 길어지는 학과나 계열의 학생일 경우 도서관 접근성에 대한 만족도가 낮았다.
S여대도서관 재학생을 대상으로 도서관 이용빈도와 상대적 중요성, 자료와 서비스 부분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도를 학년별 및 전공 계열별로 분석하였다. 또한 추가적으로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목적과 불만족 요인을 추가로 확인하여 도서관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조사결과 도서관을 이용하는 목적은 전공(학습)자료의 대출 및 열람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교양도서의 대출 및 열람, 열람실 이용, 컴퓨터 이용, 과제 해결을 위한 그룹별 혹은 학과별 모임 장소, 상호대차나 참고질의 등을 참고서비스의 이용순 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도서관에 대한 불만족 혹은 비이용 요인으로 과도한 수업 시수로 인하여 도서관을 이용할 여유가 없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도서관의 시설 및 공간에 대한 불만족, 최신 자료의 부족, 전담 사서에 의한 서비스 부족, 전공 수업을 수강하는데 있어 도서관 이용 불필요, 도서관 이용경험의 부족으로 인한 거부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도서관 이용목적 및 불만족 요인 13개 항목과 앞에서 수행한 인식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장서개발 및 서비스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장서개발 측면에서 이용자가 도서관을 이용하는 목적 및 불만족 요인은
따라서 장서개발을 하는데 있어 학과의 특성, 개설 교과목 강의계획서를 위주로 분석해서 주교재, 부교재 및 참고도서류를 반영하고, 학생의 희망도서, 교수의 추천도서 목록 등을 활용하여 핵심장서와 학제적 장서, 주변장서의 체계적 수집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불만족 요인으로 전체의 45.3%가 ‘최신 자료가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는데, 기본자료 또는 핵심장서를 제외한 자료를 일정한 주기로 제적ㆍ폐기하거나 보존서고로 이관하여 장서의 신선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도서관 서비스 측면에서 이용자가 도서관을 이용하는 목적 및 불만족 요인은
먼저 도서관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로 ‘과도한 수업 시수로 인하여 도서관을 이용할 여유가 없다’는 응답이 전체의 59.1%, ‘전공수업을 수강하는데 있어 도서관 이용 불필요하다’는 답변이 32.9%를 차지하였다. 전문대학 재학생의 경우 2년제 학제 전공자는 80학점 이상을 이수해야 하고 전공별로 실습 위주의 교과과정을 이수하는데, 도서관 이용을 요구하지 않는 학사운영은 개선이 필요하다. 전문 직업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교양과 직업관, 급변하는 지식 정보사회에 부응할 수 있는 전공 지식과 자질을 갖춘 전문직업인을 양성해야 하는 전문대학의 교육목적과 특성을 반영하고, 졸업 후 진출 분야와 관련된 산업기반자료를 수집ㆍ관리하여 이용자의 도서관 방문을 유인하는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도서관 불만족 요인 중에 ‘도서관 이용경험의 부족으로 인한 거부감’이라 응답한 비율이 21.4%나 되었다. 앞서 분석한 인식도 분석에서 정보활용교육의 만족도가 인문사회계열 평균이 현저히 높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년별로 도서관 이용 교육과 정보활용교육의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1학년이 낮았으므로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따라서 도서관측은 1학년과 인문사회 계열 전공은 물론이거니와 그 외 자연 및 예체능 관련 전공 재학생에 대한 이용교육이나 정보활용교육을 한층 강화하여 도서관에 대한 불안감 내지 거부감을 해소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다양한 문화행사 및 홍보활동을 통하여 도서관과 이용자의 간극을 좁히려는 적극적인 시도가 필요하다. 4년제 대학과는 달리 전문대학 이용자는 학제가 짧기 때문에 오히려 도서관으로부터 자칫 소외되기 싶고 무관심해지기 쉽다. 학과별 또는 학생수준별 도서관이용교육 및 정보활용교육이 꼭 필요한 이유이다.
또한 도서관 이용목적으로 ‘상호대차나 참고질의 등 참고서비스 이용’은 전체 가운데 17.7%가 응답하였는데, 불만족 요인으로 ‘전담 사서에 의한 서비스 부족’을 36.8%가 응답하고 있어 서비스 전담 인력의 확보가 요구된다. S여대도서관은 관장을 제외한 직원 3명(정규직 1, 비정규 준사서 2)이 주간, 야간 근무를 교대로 하고 있다. 2013년도 전문대학도서관 평균 사서수가 1.36명으로 전국 전문대학도서관에서 참고서비스를 전담할 인력이 부족한 상황임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사실상 대출ㆍ반납 업무는 물론이며 참고서비스 업무를 비정규직 준사서가 맡고 있고, 직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재교육이나 일반 직무교육 등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서비스 부실은 예측 가능하다. 비정규직 비율이 절대적으로 높은 전문대학도서관 사서의 정규직화 및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계속교육이 시급하다. 고무적인 소식은 한국전문대학도서관협의회 연회비 납부 기관이 2000년 36개교에서 2014년말 기준 99개교로 급증했고, 동협회가 실시하는 사서직무교육이나 정기세미나에 참석하는 기관이 차츰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전문대학도서관 간의 정보교류 및 직원의 재교육을 위한 대학 본부 및 협의회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도서관의 시설 및 공간에 대한 인식도 조사는 제외하였으나, 도서관 이용목적 및 불만족 요인 가운데 이용자가 언급한 이와 관련된 부분을 부언하면 다음과 같다. 이용자는 ‘열람실 이용’(55.5%), ‘컴퓨터 이용’(35.6%), ‘과제 해결을 위한 그룹별 혹은 학과별 모임 장소’(21.4%) 순으로 이용목적을 들고 있다. 그리고 불만족 요인으로 ‘도서관 시설 및 공간에 대한 불만족’이 전체의 51.5%에 달하고 있다. 한국도서관기준(2013)에서 제시한 대학도서관의 열람석수는 편제정원을 기준으로 학부생의 25%(전문대학 포함) 이상을 권고 하고 있다. 그러나 조사 대상인 S여대도서관의 경우 편제정원 3,660명의 25%인 915석을 최소 확보해야 하지만 현재 열람석수는 305석으로 매우 부족하며, 2013년 기준 전국 전문대 학도서관의 평균 열람석수인 481석에도 못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별도의 그룹학습실이 없는 관계로 그룹별 토론이나 과제 해결, 도서관이용교육이나 정보활용교육을 실시할 때 다른 이용자에게 방해가 될 수 있어 보완이 필요하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 전문대학도서관의 시설 및 공간에 대한 심층 분석 및 대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전문직업인 양성이라는 전문대학 설립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전문대학도서관은 매우 중요하며 그에 준하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다만 현재까지 진행된 대다수의 대학도서관 활성화 방안 관련 연구가 4년제 대학도서관을 위주로 수행되다보니 정작 시설, 인력, 장서, 예산 등 여러 지표에서 따라잡을 수 없는 격차가 존재하고 빈익빈 현상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 지금의 전문대학도서관이다. 현실적으로 짧은 시간 내에 공간이나 시설을 확충하는데 한계가 있지만, 자료와 서비스 부분에 우선적으로 이용자의 인식을 분석하고 요구 사항을 반영하여 보완책을 마련해보자는 취지에서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 연구는 S여대도서관을 대상으로 전문대학도서관의 자료와 서비스에 대한 일반적 인식도 즉, 도서관의 이용빈도, 상대적 중요성, 이용목적, 불만족 요인, 자료와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 자료 및 서비스의 전체적인 인식도 분석의 경우 대출절차, 도서관 주최 문화 행사, 1인당 대출책수, 장서의 학습기여도, 정보활용교육 및 도서관이용교육, 도서관 직원의 태도, 교양자료의 충분성, 도서관 이용시간, 사서의 전문성, 연속간행물의 충분성, 문헌복사서비스 및 상호대차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평균(2.90)을 상회한 반면, 도서관 홈페이지 구성, 희망도서신청절차, 비도서자료, 전공(학습)자료, 자료의 최신성, 도서관의 접근성, 취업정보, 교내 부속기관 중 도서관의 상대적 중요성 등은 낮거나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별 인식도의 평균차에 대한 검정 결과, 도서관 이용빈도와 상대적 중요성에 대한 학년간 평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자료 영역의 경우 5개(전공(학습) 자료, 교양자료, 자료의 최신성, 장서의 학습 기여도, 취업정보) 항목에서 1학년의 만족도가 유의한 수준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서비스 영역의 경우는 7개(도서관 직원의 태도, 문헌복사서비스 및 상호대차, 도서관 이용시간, 1인당 대출책수, 대출기간, 대출절차, 도서관의 접근성) 항목의 평균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대출절차를 제외한 나머지 6개 항목은 1학년이 2학년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계열별 이용자 인식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검정한 결과 총 22개 문항 중에서 9개(도서관이용도, 도서관의 상대적 중요성, 전공(학습)자료, 교양자료, 장서의 학습 기여도, 정보활용교육, 대출기간, 대출절차, 도서관의 접근성) 항목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목적과 불만족 요인을 조사한 결과, 도서관을 이용하는 목적은 전공(학습)자료의 대출 및 열람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교양도서의 대출 및 열람, 열람실 이용, 컴퓨터 이용, 과제 해결을 위한 그룹별 혹은 학과별 모임 장소, 상호대차나 참고질의 등을 참고서비스의 이용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도서관 불만족 요인으로 과도한 강의 시수로 인하여 여유시간 없음, 최신 자료의 부족, 전담 사서에 의한 서비스 부족, 도서관 이용 불필요한 수업운영, 도서관 이용경험의 부족으로 인한 거부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전문대학도서관은 가장 우선하여 전공(학습)자료와 교양자료의 양적 확충에 노력을 해야 한다. 핵심 전공도서와 산업현장에서 직업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는 교양도서를 확보하되, 오래된 자료는 과감하게 제적ㆍ폐기하거나 보존서고로 이관하여 장서의 신선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한 부족한 장서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상호대차와 문헌복사서비스를 적극 홍보하고 나아가 맞춤형 이용자교육 및 정보활용교육을 통하여 오픈 액세스 기반 정보원에 접근을 위한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정보활용교육은 졸업 후 전문직업인으로서 자질과 능력을 키우는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서관 이용을 요구하지 않는 학사운영은 개선이 필요하다. 급변하는 지식정보 사회에 부응할 수 있는 교양과 직업관, 자질과 능력을 갖춘 전문직업인을 양성하고자 하는 전문대학의 교육목적과 특성을 반영하고, 직업교육 분야와 관련된 취업관련자료를 효율적으로 관리ㆍ활용하고 학생의 접근성과 활용성을 고려하는 등의 유인책 마련이 필요하다. 도서관은 전담인력의 배치를 통한 교내 학과 교수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확보하고 도서관을 홍보하여 전공수업에서 도서관을 활용하도록 설득하는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전문대학도서관이 더 이상 대학의 맹장이 아니라 대학의 심장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1.
[thesis]
구, 연배.
2000
2.
[journal]
김, 태승, 이, 동규.
2005
3.
[journal]
박, 일종, 정, 진한.
2006
4.
[thesis]
박, 찬숙.
2002
5.
[thesis]
신, 미경.
2003
6.
[journal]
유, 길호, 이, 미경.
2003
7.
[thesis]
이, 동향.
1999
8.
[journal]
이, 두이, 구, 연배.
9.
[thesis]
이, 미영.
2002
10.
[thesis]
장, 은희.
2011
11.
[journal]
정, 진한, 박, 일종.
2006
12.
[thesis]
정, 희경.
2002
13.
[journal]
조, 인숙, 김, 문규.
2011
14.
[thesis]
최, 재석.
2009
15.
[book]
2013
16.
[journal]
황, 금숙, 노, 영희.
2007
17.
[thesis]
황, 인보.
2000
18.
[journal]
Cho, In Sook, Kim, Moon Kyu.
2011
“A Study on the Efficient Management of Jobrelated Collections in College Libraries .”
19.
[thesis]
Choi, Jae Suck.
20.
[journal]
Hoang, Gum-Sook, Noh, Young Hee.
2007
“A Policy Study on How to Support Community College Libraries.”
21.
[thesis]
Hwang, In Bo.
2000
22.
[thesis]
Jang, Eun Hee.
23.
[thesis]
Jung, Hee Kyung.
2002
24.
[journal]
Jung, Jin Han., Park, Il Jong.
2006
“A Study of the Using Status and Environment of Domestic e-Books in Academic Libraries of Junior Colleges .”
25.
[journal]
Kim, Tae Seoung., Lee, Dong Kyu.
2005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Web-based OPAC in the College Library.”
26.
[thesis]
Koo, Yeen Bai.
2000
27.
[book]
2013
28.
[thesis]
Lee, Dong Hyang.
29.
[journal]
Lee, Du-Yi, Koo, Yeen-Bai.
“A Study on the Junior College Librarians Personality Type and Job Satisfaction.”
30.
[thesis]
Lee, Mi Young.
31.
[thesis]
Park, Chan Sook..
2002
32.
[journal]
Park, Il Jong, Jung, Jin Han.
“Study of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rogram of the Information Services in Junior College Libraries of Korea.”
33.
[thesis]
Shin, Mi Kyung.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