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북경어 속에는 많은 만주어 기층 성분이 남아 있다. 만주어의 어음특징과 기민어(旗民語)가 들여온 만주어 발음 습관은 대부분 이들 어휘 속에서 원래의 북경 한어 어음과 유기적인 융합 과정을 거쳤다. 논문의 분량제한으로 여기서는 다만 필자가 7년(1987년~1994년) 동안 조사한 자료에서기본적으로 인정한 800개의 어휘 젓 100개만을 분석하여 “작은 관문을 통해 전체를 본다”는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TY - JOUR AU - 趙 杰 TI - No Title JO -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PY - 2008 VL - null IS - 8 PB - The Manchurian Studies Association SP - 233 EP - 268 SN - 1738-3668 AB - 현대 북경어 속에는 많은 만주어 기층 성분이 남아 있다. 만주어의 어음특징과 기민어(旗民語)가 들여온 만주어 발음 습관은 대부분 이들 어휘 속에서 원래의 북경 한어 어음과 유기적인 융합 과정을 거쳤다. 논문의 분량제한으로 여기서는 다만 필자가 7년(1987년~1994년) 동안 조사한 자료에서기본적으로 인정한 800개의 어휘 젓 100개만을 분석하여 “작은 관문을 통해 전체를 본다”는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KW - DO - UR - ER -
趙 杰. (2008). No Title.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8, 233-268.
趙 杰. 2008, "No Title",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no.8, pp.233-268.
趙 杰 "No Title"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8 pp.233-268 (2008) : 233.
趙 杰. No Title. 2008; 8 : 233-268.
趙 杰. "No Title"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no.8(2008) : 233-268.
趙 杰. No Title.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8, 233-268.
趙 杰. No Title.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2008; 8 233-268.
趙 杰. No Title. 2008; 8 : 233-268.
趙 杰. "No Title"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no.8(2008) : 233-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