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Principles of Transparency and Best Practice in Scholarly Publishing

                                                              원고 작성 요령

 

만주연구에 투고하는 논문은 아래의 작성 요령을 준수해야 한다아래 작성요령에 부합하지 않는 투고원고에 대해 본 편집위원회는 게재를 거부할 수 있고 이 경우 심사료와 게재료는 반환하지 않는다.

외국어로 작성된 논문의 경우에 한해 해당 외국어 논문의 일반적인 작성 요령을 따르는 것을 허용한다.

1. 제목필자명목차

 

1) 제목은 맨 위에 제시하며부제를 붙일 경우 (긴줄)로 표시한다.

2) 사사표기 등 논문에 관련한 정보는 제목 끝에 각주를 붙여 제시한다.

3) 필자명 및 소속기관을 함께 제시하는데공동집필한 투고논문의 경우 2인까지는 논문 제목 아래에 병기하며, 3인 이상은 대표저자와 공동 저자를 구분하며 후자는 각주로 내려서 표기한다.

4) 목차는 까지만 제시한다.

 

2. 본문

 

1) 목의 번호는 . - 1. - 1) - (1) - ① 의 순차로 매긴다.

2) 도표는 반드시  기능을 사용하여 작성한다.

3) 괄호 표기는 ( ), [ ],「 」순으로 하고본문의 주석은 ( )로 처리한다.

4) 연대의 표시는 서기를 원칙으로 하며불가피한 경우 ( )안에 서기를 병기한다.

5) 숫자는 특별한 의미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한다.

6) 외국어문의 인용에는 원문을 반드시 제시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한국어로 번역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각주

 

모든 주는 각주로 처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데다만 각주의 서지사항은 논문의 가독성을 위해 간결하게 제시하고 완전한 서지는 참고문헌에 제시한다.

1) <저자,연도,논문명,서명,출판기관,쪽수.>의 형식으로 한다.

• 각 항목은 쉼표로 구분하고끝은 마침표로 맺는다.

• 번역서의 경우에는 <저자,역자,번역서 연도,번역서명,출판사,쪽수.>의 형식으로 한다.

2) 한국어일본어중국어를 비롯한 동양서의 서지사항은 논문은 「 」(반각)안에단행본은 『 』(반각)안에 제목을 넣고쪽수는 으로 표기한다.

• 영어 등 서양어권의 서지사항은  , 안에 논문 제목을 쓰고단행본의 서명은 이탤릭체를 사용하며쪽수는 p. 및 pp.로 표기한다.

3) 2인의 공저공역일 경우  ・ 으로 병기하되, 3인 이상일 경우 대표저자 혹은 제1저자만 쓰고 외 ~으로 표기한다.

4) 논문집의 경우 동일 혹은 유사한 제호가 없는 경우 학회명 등 발행처를 생략할 수 있다.

5) 투고자가 판단하여 문헌명의 부제목을 생략할 수 있으며출판지도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한해 제시한다.

▯ 동양서의 각주 인용 예시

서재길, 2014, 식민지 개척 의학과 제국의료의 극북김재용이해영 편만주경계에서 읽는 한국문학소명출판, 103.

베네딕트 앤더슨윤형숙 역, 2002, 상상의 공동체나남, 15-18.

콜린 고든 외 2인 편심성보 외 5인 역, 2014, 푸코 효과난장, 175-177.

한석정노기식 편, 2008, 만주동아시아 융합의 공간소명출판, 13.

김경일 외 3, 2004, 동아시아의 민족이산과 도시역사비평사, 102.

박선영, 2005, 기억기억성위만주국만주연구』 3, 25.

申瑩澈 編, 1941, 滿洲朝鮮文藝選新京朝鮮文藝社

▯ 서양서의 각주 인용 예시

Loo, Tina, 2016, High Modernism, Conflict, and the Nature of Change in Canada: A Look at Seeing Like a State, Canadian Historical Review 97(1), p.13.

Meyer, J. W., 1999, The Changing Cultural Contents of the Nation State: A World Society Perspective, in Steinmetz, G., eds., State/Culture, Cornell University Press, pp.157-161.

 

6) 동일한 자료를 여러 번 인용할 경우저자명과 연도를 반드시 병기하여 <저자명,연도,앞의/위의/같은 책/논문,쪽수.>로 표기한다.
→ 박선영, 2005, 앞의 논문, 20.
→ 윤휘탁, 1996, 위의 책, 104~105.

7) 동일저자의 같은 해 간행 문헌일 경우 연도표기 뒤에 a, b, c, … 를 부기하여 구별하도록 한다.

 

4. 참고문헌

참고문헌은 각주의 인용 문헌과 같은 방식으로 작성하나서지 정보의 정확성을 위해 문헌명의 부제목원저자명편자명 전부 등 관련 서지사항을 완전히 밝히며또 아래 사항을 달리한다.

1) 단행본논문자료 모두 쪽수를 표기하지 않으며마침표를 찍지 않는다.

> 박선영, 2005, 기억기억성위만주국만주성위의 기억과 기록의 합주곡으로 본 만주국 생김새만주연구』 3

> 윤휘탁, 1996, 일제하 만주국연구항일무장투쟁과 치안숙정공작일조각

2) 번역서일 경우는 <저자명,역자,연도,번역서명,출판사>의 순서로 제시한다.

• 번역서 저자명 바로 뒤에 원서의 저자명을 괄호 속에 병기한다.

•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원서명을 참고문헌에서 괄호 안에 제시하고 그 때에는 서지사항 전부를 기재한다.

> 베네딕트 앤더슨(Benedict Anderson), 윤형숙 역, 2002, 상상의 공동체 민족주의의 기원과 전파에 대한 성찰나남

> 베네딕트 앤더슨윤형숙 역, 2002, 상상의 공동체 민족주의의 기원과 전파에 대한 성찰나남 (Anderson, Bendict, 1991, Imagined communities : reflections on the origin and spread of nationalism, Rev. and extended ed., London : Verso)

3) 저자역자가 2인 이상일 때 저자명역자명을 모두 기재해야 한다.

> 김경일윤휘탁이동진임성모, 2004, 동아시아의 민족이산과 도시: 20세기 전반 만주의 조선인역사비평사

> -푸 투안(Yi-Fu Tuan), 구동희심승회 역, 2007, 공간과 장소대윤

4) 참고문헌은 저자명을 기준으로 가나다라 순으로 배열하고동일저자의 문헌들은 오름차순 연도순으로 배열한다일문중문 문헌도 한국어의 한자 독음 순으로 배열한다외국어로 작성한 논문의 경우 해당 언어의 배열 방식을 허용한다.

 

5. 기타

 

1) 한국어영어 초록은 본 투고요령의 .일반원칙 제5항에 제시된 바에 따라 작성한다.

2) 이상의 투고요령에 규정되지 않은 사항은 기존의 만주연구』 편집 관례 및 만주학회 편집위원회의 결정에 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