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2740502}, author={Nam Mu Hee}, title={No Title}, journal={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issn={1738-3668}, year={2009}, number={9}, pages={93-116}
TY - JOUR AU - Nam Mu Hee TI - No Title JO -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PY - 2009 VL - null IS - 9 PB - The Manchurian Studies Association SP - 93 EP - 116 SN - 1738-3668 AB - 본고에서는 광개토왕과 장수왕대 요동지역의 고구려 불교가 어떠하였는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고구려가 요동지역을 확보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요동성에 세워진 육왕탑 관련 기록을 검토하였다. 그런 속에서 ‘고려’라는 국명에 담긴 의미와 함께 ‘성왕’이 갖는 역사적 의미도 제시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광개토왕과 장수왕대를 지나면서 발전했을 요동지역의 불교계 동향이 갖는 고구려적인 의미도 제시하려고 하였다.
이러한 검토는 광개토왕대 평양에 9사를 창건한 것이 가지는 의미가 무엇인지도 함께 제시하면서 설명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분석이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국내성을 중심으로 한 고구려 불교계 동향과 평양지역을 중심으로 한 불교계 동향이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을 가지고 있었는지도 밝혀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분을밝히는데 주안점을 두고자 한다. KW - DO - UR - ER -
Nam Mu Hee. (2009). No Title.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9, 93-116.
Nam Mu Hee. 2009, "No Title",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no.9, pp.93-116.
Nam Mu Hee "No Title"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9 pp.93-116 (2009) : 93.
Nam Mu Hee. No Title. 2009; 9 : 93-116.
Nam Mu Hee. "No Title"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no.9(2009) : 93-116.
Nam Mu Hee. No Title.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9, 93-116.
Nam Mu Hee. No Title.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2009; 9 93-116.
Nam Mu Hee. No Title. 2009; 9 : 93-116.
Nam Mu Hee. "No Title"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no.9(2009) : 93-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