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New technology and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Perspectives on Missing Links

  • Informatization Policy
  • Abbr : 정보화정책
  • 2004, 11(4), pp.86~95
  • Publisher : NIA
  • Research Area : Social Science > Public Policy

Jang-ik Lee 1

1아주대학교

Candidate

ABSTRACT

이 서평논문의 목적은 사이버강의 혹은 이러닝(e-Learning)으로 알려져 있는 대학교육의 정보화에 대한 이해와 향후 추진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대학교육의 정보화에 대한 전략적, 체계적 접근방법론에 대한 책과 함께‘학습자 지원(Learner Support)체제라는 중요하지만 다소 등한시되어왔던 개념에 대한 책의 내용을 소개∙분석하는 것에 있다. 우선 Bates와 Poole의 Effective Teaching with Technology in Higher Education을 통해 대학에서의 교육정보화 추진과정에 대한 종합적 관점을 정리하였다. 저자들은 정보기술의 발전이 대학의 교육활동에 필연적으로 변화를 초래하고 있지만 교수와 학 습활동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이해가 선행되어야 함과 동시에 대학조직의 전략적 발전목표와 교육활동의 정보화가 체계적으로 연계되어야 한다는 매우 상식적인 논리를 구체적 사례와 함께 단계별 방법론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들의 논점은 대학교육의 정보 화에 대한 개념적 명료화를 시도하고 있으며 이러닝 프로젝트에 있어서 대학경영진의 철저한 리더십과 세밀한 경영전략의 중요 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에서 시사점을 주고 있다. 이어서 다룬 책은 Tait와 Mills가 편집한 Rethinking Learner Support in Distance Education이다. 이 책의 내용이 가지는 중요한 메시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좋건 싫건 대학의 학습자는 이제 고객 (customer)으로 인정되어야 한다. 둘째, 고객으로서 대학의 학습자를 인정한다면 학습자지원체제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질 것이 며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습자 지원체제의 중요성은 핵심성공요소로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온라인 학습환경에서의 학습 자 지원체제는 다양한 기술적 대안의 도입과 함께 기관차원의 적극적 지원을 통한 질적 향상노력을 통하여 온라인 학습환경의 문 제를 해결하는 대안으로 자리잡을 수 있다. 이 서평논문은 두권의 책을 통하여 현재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이러닝 도입 및 추진전 략에 있어서 기관차원의 종합적 정책 및 기획역량과 함께 학습자 지원체제의 핵심적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