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317172},
author={콘도 고이치},
title={백제・위덕왕(威徳王)의 사원건립(寺院建立)과 효사상(孝思想) -능산리사원(陵山里寺院)・왕흥사(王興寺)로 본 동(東)아시아 불교사의 한 장면-},
journal={日本硏究},
issn={1229-6309},
year={2009},
number={26},
pages={417-437}
TY - JOUR
AU - 콘도 고이치
TI - 백제・위덕왕(威徳王)의 사원건립(寺院建立)과 효사상(孝思想) -능산리사원(陵山里寺院)・왕흥사(王興寺)로 본 동(東)아시아 불교사의 한 장면-
JO - 日本硏究
PY - 2009
VL - null
IS - 26
PB - The Center for Japanese Studies
SP - 417
EP - 437
SN - 1229-6309
AB - 본고는 최근 새롭게 발견된 자료로 인해 주목을 받고 있는 백제 위덕왕대의 능산리사원과 왕흥사 건립과 관련된 백제불교의 일단을 당시 동아시아에 전개된 불교 사상의 흐름 속에서 해명하기로 한 것이다. 이상의 검토를 통하여 성왕대(聖王代)의 대통사(大通寺)를 시작으로 능산리사원이나 왕흥사 등 6세기 백제왕권(百済王権)에 의한 사원건립은 양(梁)으로부터 전해진 「효사부(孝思賦)」 등의 서적에 근거한 효사상을 사상적 기반으로 추진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효사상은 백제왕권을 뒷받침하는 사상이 되어 더 나아가서는 백제불교를 직접 수용한 왜(倭)에게까지 전해졌다고 생각된다.
KW - 백제(Paekche);양(Liang);능산리사원(the Neungsanri Temple);왕흥사(the Wangheung Temple);효사상(the Filial Piety)
DO -
UR -
ER -
콘도 고이치. (2009). 백제・위덕왕(威徳王)의 사원건립(寺院建立)과 효사상(孝思想) -능산리사원(陵山里寺院)・왕흥사(王興寺)로 본 동(東)아시아 불교사의 한 장면-. 日本硏究, 26, 417-437.
콘도 고이치. 2009, "백제・위덕왕(威徳王)의 사원건립(寺院建立)과 효사상(孝思想) -능산리사원(陵山里寺院)・왕흥사(王興寺)로 본 동(東)아시아 불교사의 한 장면-", 日本硏究, no.26, pp.417-437.
콘도 고이치 "백제・위덕왕(威徳王)의 사원건립(寺院建立)과 효사상(孝思想) -능산리사원(陵山里寺院)・왕흥사(王興寺)로 본 동(東)아시아 불교사의 한 장면-" 日本硏究 26 pp.417-437 (2009) : 417.
콘도 고이치. 백제・위덕왕(威徳王)의 사원건립(寺院建立)과 효사상(孝思想) -능산리사원(陵山里寺院)・왕흥사(王興寺)로 본 동(東)아시아 불교사의 한 장면-. 2009; 26 : 417-437.
콘도 고이치. "백제・위덕왕(威徳王)의 사원건립(寺院建立)과 효사상(孝思想) -능산리사원(陵山里寺院)・왕흥사(王興寺)로 본 동(東)아시아 불교사의 한 장면-" 日本硏究 no.26(2009) : 417-437.
콘도 고이치. 백제・위덕왕(威徳王)의 사원건립(寺院建立)과 효사상(孝思想) -능산리사원(陵山里寺院)・왕흥사(王興寺)로 본 동(東)아시아 불교사의 한 장면-. 日本硏究, 26, 417-437.
콘도 고이치. 백제・위덕왕(威徳王)의 사원건립(寺院建立)과 효사상(孝思想) -능산리사원(陵山里寺院)・왕흥사(王興寺)로 본 동(東)아시아 불교사의 한 장면-. 日本硏究. 2009; 26 417-437.
콘도 고이치. 백제・위덕왕(威徳王)의 사원건립(寺院建立)과 효사상(孝思想) -능산리사원(陵山里寺院)・왕흥사(王興寺)로 본 동(東)아시아 불교사의 한 장면-. 2009; 26 : 417-437.
콘도 고이치. "백제・위덕왕(威徳王)의 사원건립(寺院建立)과 효사상(孝思想) -능산리사원(陵山里寺院)・왕흥사(王興寺)로 본 동(東)아시아 불교사의 한 장면-" 日本硏究 no.26(2009) : 417-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