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507430},
author={허성도},
title={甲骨文 ‘此’의 의미소 연구 },
journal={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issn={1225-083X},
year={2010},
number={56},
pages={167-178},
doi={10.15792/clsyn..56.201012.167}
TY - JOUR
AU - 허성도
TI - 甲骨文 ‘此’의 의미소 연구
JO -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PY - 2010
VL - null
IS - 56
PB - Chinese Literary Society Of Yeong Nam
SP - 167
EP - 178
SN - 1225-083X
AB - 이 글은 甲骨文 ‘此’가 [+이탈]의 의미소를 가지게 된 상황을 논의하고, 실제로 ‘此’를 구성요소로 하는 한자의 의미가 의미소 [이탈]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다는 사실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논의가 맞는 것이라면 이 글이 제시한 ‘此’를 구성요소로 취하는 각 한자의 의미가 원의미(Original Meaning)가 되며, 이러한 원의미가 구성하는 이미지가 그 한자의 의미의 본원이 된다. 위의 각 한자의 파생의미는 이 이미지를 통하여 형성된 것이며, 앞으로도 이러한 파생의 생명력은 이어질 것이다.
이 글은 논의 과정에서 ‘紫’가 어떠한 원리로 ‘자줏빛’이라는 의미를 갖게 되었는지를 설명할 수 없었다. 이에 대하여는 제현의 도움을 기다린다. 그러나 ‘此’의 의미소 [이탈]이 상당수의 한자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면, 그것은 하나의 규칙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이 이 글의 입장이다. 인문학적 규칙은 모든 현상을 예외 없이 하나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KW -
DO - 10.15792/clsyn..56.201012.167
ER -
허성도. (2010). 甲骨文 ‘此’의 의미소 연구 .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56, 167-178.
허성도. 2010, "甲骨文 ‘此’의 의미소 연구 ",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no.56, pp.167-178. Available from: doi:10.15792/clsyn..56.201012.167
허성도 "甲骨文 ‘此’의 의미소 연구 "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56 pp.167-178 (2010) : 167.
허성도. 甲骨文 ‘此’의 의미소 연구 . 2010; 56 : 167-178. Available from: doi:10.15792/clsyn..56.201012.167
허성도. "甲骨文 ‘此’의 의미소 연구 "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no.56(2010) : 167-178.doi: 10.15792/clsyn..56.201012.167
허성도. 甲骨文 ‘此’의 의미소 연구 .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56, 167-178. doi: 10.15792/clsyn..56.201012.167
허성도. 甲骨文 ‘此’의 의미소 연구 .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2010; 56 167-178. doi: 10.15792/clsyn..56.201012.167
허성도. 甲骨文 ‘此’의 의미소 연구 . 2010; 56 : 167-178. Available from: doi:10.15792/clsyn..56.201012.167
허성도. "甲骨文 ‘此’의 의미소 연구 "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no.56(2010) : 167-178.doi: 10.15792/clsyn..56.201012.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