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688867},
author={박정순},
title={A discussion of exegetical studies in the ≪Rongzhaisuibi≫},
journal={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issn={1225-083X},
year={2012},
number={60},
pages={481-508},
doi={10.15792/clsyn..60.201208.481}
TY - JOUR
AU - 박정순
TI - A discussion of exegetical studies in the ≪Rongzhaisuibi≫
JO -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PY - 2012
VL - null
IS - 60
PB - Chinese Literary Society Of Yeong Nam
SP - 481
EP - 508
SN - 1225-083X
AB - ≪容齋隨筆≫은 南宋때 洪邁의 筆記體 저술로 宋代에서 가치 높은 필기 중의 하나로 일컬어진다. 본고는 ≪容齋隨筆≫에 訓詁學과 관련이 있는 논술을 정리하였지만 篇幅이 제한되기 때문에 ‘文字論’과 ‘用字論’등을 위주로 고찰하고 분석하여 洪邁의 訓詁學의 觀點과 特徵을 闡明하였으며 ≪容齋隨筆≫의 訓詁學적인 연구 가치를 밝히고 있다. 訓詁學은 중국에서 전통적인 古書 중의 문자 의미를 연구하는 분야로 중국 전통 文字學 ‘小学’의 한 分科이다. 訓詁學은 廣義적인 의미와 狹義적인 의미로 나눈다. 본고에서는 廣義적인 訓詁學의 측면에서 ≪容齋隨筆≫을 고찰하여 귀중한 문화유산에 대해 깊이 있게 탐구해보려 한다. 宋代는 중국 訓詁學 發展의 變革時期이다. 宋代에 訓詁學의 저술들이 대량 출현하는데 이것은 宋代사람들이 대담하게 新義를 創造하고 疑古風을 개척하였는데, 洪邁는 그 영향을 깊이 받아 宋代 儒家의 疑古創新 學風을 계승하고 발양하여 ≪容齋隨筆≫에서 訓詁學에 대해 정확한 인식과 투철한 견해를 쏟아내어 그 訓詁學의 가치를 세상 사람들에게 인정을 받고 있다.
洪邁는 文字論에 관한 古書를 대량으로 읽었고 문자의 뜻을 考證하고 解釋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字音을 분석하고 식별하였으며, 글자형태를 설명하고 책에 나오는 글자의 참뜻을 명백히 하였다. 정확하게 문자를 해석하고 음운을 명백히 하는 것은 전통적인 訓詁學의 핵심부분이다. ≪容齋隨筆≫ 중의 글자의 뜻에 관해서 洪邁는 “美惡相對之字”를 논하고 ‘反訓’는 中國古代에서 특수한 글자의미 현상이다. 그는 ‘由’와 ‘猶’는 同義字로 여기며 通用字로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容齋隨筆≫중에 同義字에 대하여 각기 다른 측면의 해석이 있다. ‘食閻’과 ‘縱臾’는 모두 ‘慫恿’、‘從容’의 의미가 있어 각각 口語와 書面語라고 했다. 洪邁는 ‘義’字를 열거하며 부문별로 나누어 考證해석하고 歸納하였는데 이것은 의미가 많은 글자로서 본래의 의미 외에 다른 의미는 모두 轉義라고 하였다. 또한 轉義에는 주로 파생의미 ‘引伸義’와 ‘假借義’ 및 비유의미 ‘比喩義’ 등이 포함된다고 설명하였다.
聲韻學과 訓詁學의 관계는 가장 중요하며, 전자는 후자의 유력한 도구이다. 그것은 단어의 의미를 해석하려면 자주 음성으로 문자를 설명해야 한다. ≪容齋隨筆≫에서 洪邁는 ‘戊’字는 단지 ‘茂’와 同音이 된다고 여기며, ‘羌’과 ‘慶’은 同音으로 考證하고 해석하였으며, 이밖에 대량의 反切音도 記錄하였다. ≪漢書ㆍ地理志≫에서 洪邁는 48개의 古代地名을 열거하면서 모두가 고대 聲韻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宋代는 종의적인 설명과 古今의 대비를 중시한다. 訓詁學 논의에서 洪邁는 反切表音法을 사용했을 뿐만 아니라 直音法, 상태비교법인 ‘比況法’으로 音韻을 考證하였다. 그는 實際적인 어음으로 韻을 分類한 觀點은 後世의 韻書에 적극적인 영향을 미쳤다.
≪容齋隨筆≫에서 洪邁는 文字 形體의 변천에 대하여 적지 않은 考證을 하였다. 예를 들면 ‘委蛇’의 讀音과 표기법의 12가지 變體 등 있다. <小學不講>에서 그는 95개 文字를 정리하고, 俗體의 착오도 考證하였다. <周禮奇字>에서는 52개의 古字의 正字體의 쓰기 법을 지적하였고, 古今 文字의 變化를 說明하였다. 그는 또한 ‘碌碌’字의 다른 6가지 쓰기방법도 지적하였다.
用字論에서 ≪容齋隨筆≫은 文法論적인 측면의 귀중한 자료들을 보존했다. 用字論는 후세 사람들이 연구 할 가치가 있다. 洪邁는 張炎보다 일찍 ≪容齋隨筆≫에서 實字개념을 언급하고 있었다. 그는 對句방식을 통하여 實字와 虛字를 구분하고 있으며, 詩句에서의 위치와 作用을 잘 파악하고 있다. 洪邁는 古文 虛字를 考證할 대상으로 삼고 경전에 보이는 虛字에 대한 解釋을 인용하였으며, 事例를 廣範하게 수집하여 그 기원과 발전을 考證하였다. 특히 여러 가지 虛字의 特殊用法에 대하여 해석하고 고견을 많이 가지고 있으며, 선인들을 초월하는 성취를 이루었다. 그는 선인들의 단어를 重疊해서 사용하는 어법적 특징도 밝혀냈다. ≪容齋隨筆≫은 宋代 혹은 그 이전의 저술중의 일부 俗語 단어를 기록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출처도 주의 깊게 考察하였다. 洪邁가 저술한 ≪容齋隨筆≫은 편폭이 길지 않고 내용이 좀 어수선해 보이지만 全5冊 74卷 중에서 訓詁學과 直接적 관계가 있는 수백 가지 논술자료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내용 또한 상당히 풍부하고 考證이 심도 깊고 세밀하다. 또한 訓詁의 見解가 투철할 뿐만 아니라, 전통 訓詁學의 연구범위도 넓혔다. ≪容齋隨筆≫에서 논술한 訓詁學은 後世 사람들이 진지하게 연구하고 考察하여 본보기로 삼아야 한다.
KW -
DO - 10.15792/clsyn..60.201208.481
ER -
박정순. (2012). A discussion of exegetical studies in the ≪Rongzhaisuibi≫.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60, 481-508.
박정순. 2012, "A discussion of exegetical studies in the ≪Rongzhaisuibi≫",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no.60, pp.481-508. Available from: doi:10.15792/clsyn..60.201208.481
박정순 "A discussion of exegetical studies in the ≪Rongzhaisuibi≫"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60 pp.481-508 (2012) : 481.
박정순. A discussion of exegetical studies in the ≪Rongzhaisuibi≫. 2012; 60 : 481-508. Available from: doi:10.15792/clsyn..60.201208.481
박정순. "A discussion of exegetical studies in the ≪Rongzhaisuibi≫"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no.60(2012) : 481-508.doi: 10.15792/clsyn..60.201208.481
박정순. A discussion of exegetical studies in the ≪Rongzhaisuibi≫.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60, 481-508. doi: 10.15792/clsyn..60.201208.481
박정순. A discussion of exegetical studies in the ≪Rongzhaisuibi≫.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2012; 60 481-508. doi: 10.15792/clsyn..60.201208.481
박정순. A discussion of exegetical studies in the ≪Rongzhaisuibi≫. 2012; 60 : 481-508. Available from: doi:10.15792/clsyn..60.201208.481
박정순. "A discussion of exegetical studies in the ≪Rongzhaisuibi≫"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no.60(2012) : 481-508.doi: 10.15792/clsyn..60.201208.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