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847719},
author={조성식},
title={An analysis on the Literary Pneuma("WenQi")},
journal={PHILOSOPHY·THOUGHT·CULTURE},
issn={1975-1621},
year={2014},
number={17},
pages={218-243}
TY - JOUR
AU - 조성식
TI - An analysis on the Literary Pneuma("WenQi")
JO - PHILOSOPHY·THOUGHT·CULTURE
PY - 2014
VL - null
IS - 17
PB - Research Institute for East-West Thought
SP - 218
EP - 243
SN - 1975-1621
AB - 본고는 氣論의 관점에서 六朝시기 『文心雕龍』에 보이는 문학창작과 감상론을 고찰함으로써 ‘氣’의 개념과, 그것이 관통하고 있는 술어인 ‘風’과 ‘骨’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자 했다.
『문심조룡』은 문학창작과 감상을 ‘기’의 흐름으로 보았다. 문학창작이란 외부 사・물에 충만한 ‘기’라는 물질이 작가의 ‘기’와 호응하여 작품 속에 펼쳐져 감상자로 하여금 그 ‘기’에 감응하도록 하는 작업이라는 것이다. 작가는 ‘기’를 매개로 자연에 감응하고 ‘기’를 작품 속에 담아 독자의 ‘기’와 감응하게 함으로써 나름의 “天人合德”을 꿈꾼다. ‘기’는 작가와 우주의 소통에 핵심적인 물질인 것이다.
사물에 대한 인식은 감응, 즉 감성적인 것 뿐만 아니라 이성적인 것도 있으며 그에 대한 표현 또한 감성적인 표현과 이성적인 서술이 있을 수밖에 없다. 외물의 ‘기’가 작가의 감성을 자극하여 만들어진 ‘기’는 작품 속에서 ‘風’이라는 형태로 존재하며 그것은 마치 풀 위에 부는 바람처럼 감상자의 영혼을 동화시키는 감정이입의 원천이 된다. 이 때 ‘풍’이란 독자에 대한 작품의 感染力이 된다. 한편, 감성은 도덕적 이성에 의해 제어되어야 한다는 것이 荀子와 같은 선진 유가들의 견해였으나, 『문심조룡』의 저자 劉勰은 그것을 경전이 갖는 표현의 엄정함, 논리성으로 치환하여 절충을 꾀하였다. 그것이 곧 ‘骨’이며, 그렇다면 ‘골’이란 문학의 감성적 표현의 요구인 ‘풍’에 더하여 경전이 갖는 내용의 엄정성 또는 논리성을 통해 문학을 보다 깊이 있게 하려는 의도로 도입된 개념인 것이다.
이처럼 ‘기’는 ‘풍’과 ‘골’을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文意를 잘 세우고 그것을 온전히 잘 표현하기 위해서는 ‘養氣’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문심조룡』에서 ‘양기’는 선천적인 才・氣의 단련보다도 후천적인 學・習, 특히 학문의 연마에 치중한다. 그 점에서 『문심조룡』의 저자는 절충주의적 결정론자의 태도를 보인다.
KW -
DO -
UR -
ER -
조성식. (2014). An analysis on the Literary Pneuma("WenQi"). PHILOSOPHY·THOUGHT·CULTURE, 17, 218-243.
조성식. 2014, "An analysis on the Literary Pneuma("WenQi")", PHILOSOPHY·THOUGHT·CULTURE, no.17, pp.218-243.
조성식 "An analysis on the Literary Pneuma("WenQi")" PHILOSOPHY·THOUGHT·CULTURE 17 pp.218-243 (2014) : 218.
조성식. An analysis on the Literary Pneuma("WenQi"). 2014; 17 : 218-243.
조성식. "An analysis on the Literary Pneuma("WenQi")" PHILOSOPHY·THOUGHT·CULTURE no.17(2014) : 218-243.
조성식. An analysis on the Literary Pneuma("WenQi"). PHILOSOPHY·THOUGHT·CULTURE, 17, 218-243.
조성식. An analysis on the Literary Pneuma("WenQi"). PHILOSOPHY·THOUGHT·CULTURE. 2014; 17 218-243.
조성식. An analysis on the Literary Pneuma("WenQi"). 2014; 17 : 218-243.
조성식. "An analysis on the Literary Pneuma("WenQi")" PHILOSOPHY·THOUGHT·CULTURE no.17(2014) : 218-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