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Study on Application Cases of Generative AI PoC in Public Sector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Abbr : JKSCI
  • 2025, 30(3), pp.9~20
  •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Researc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 Received : December 4, 2024
  • Accepted : February 26, 2025
  • Published : March 31, 2025

Eungjoon Kim 1

1서울대학교

Accredited

ABSTRACT

본 연구는 공공행정 분야에서 생성형 AI 도입의 가능성과 한계를 고찰하고 이를 통해 행정 효율성 증진 및 공공 서비스의 질 향상을 모색하기 위해 혼합 연구 방법(mixed-method approach)을적용하여 PoC(Proof of Concept) 사례를 분석하였다. AI 모델의 성능과 실질적 유효성을 평가하기위해 정량적 지표인 F1 스코어와 정성적 방법인 사용자 만족도 조사를 함께 활용하였으며, 최신데이터 반영을 위해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기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생성형AI는 법령 검색 및 자료 조사와 같은 반복적 업무에서 공무원의 효율성을 유의미하게 향상시키며사용자 만족도 조사에서도 비교적 높은 점수를 획득하여 업무 경감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OE(기술-조직-환경)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공공부문 AI 기술 도입 시 발생할수 있는 기술적, 조직적, 환경적 과제를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AI 도입 과정에서의 변화 관리와 사회적 수용성 확보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공공부문에서 생성형 AI의 도입 타당성을 제고하며 향후 디지털 전환 촉진을 위한 체계적 변화 관리 전략, 윤리적·법적 준수 강화, 데이터 수급 및 품질 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Citation status

* References for papers published after 2023 are currently being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