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23 KCI Impact Factor : 0.82
-
pISSN : 1229-2435 / eISSN : 2799-4767
- https://journal.kci.go.kr/kbiblia
pISSN : 1229-2435 / eISSN : 2799-4767
A Study on the Effects of a Bibliotherapy Program on the Stress Recognition and Reac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 Focus on Picture Books and Paper Craft Art Activities
1부천남중학교
2경기대학교
현대인들은 복잡하고 다양하게 전개되는 여러 가지 변화 속에서 일상생활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특히, 청소년기는 새로운 성장과 발달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므로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인 변화가 큰 폭으로 한꺼번에 일어나기에 청소년들은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청소년기는 아동에서 성인으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발달단계로 인격형성에 있어 중요한 시기라고 볼 수 있다. 청소년들은 학교제도 내에서 학습과 공동체의 생활양식을 습득하며 성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인격적, 도덕적, 사회적 자질을 준비하게 된다. 그러나 우리나라 대부분의 청소년은 학업성적과 진로문제, 대인관계의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며, 이러한 스트레스는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학교폭력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2012년 청소년 통계에 의하면 청소년의 10명 중 7명이 ‘학교생활’과 ‘전반적 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청소년이 가장 고민하는 문제는 39.6%가 ‘공부’를, 22.9%가 ‘직업(진로 선택)’ 순으로 발표되었다. 이 통계에 따르면 청소년의 사망원인 1순위는 고의적 자해(자살)이며, 자살을 생각해 본 청소년은 8.8%이고, 중⋅고등학교 10명 중 1명은 흡연, 10명 중 2명은 음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은 자신이 처한 유사한 환경이나 문제를 다루는 독서치료 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상황을 깨닫고 자신의 내면에 자리 잡은 문제를 인식하여 건전한 인격 형성 및 가치관을 확립할 수 있을 것이다.
그동안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는 품행장애 청소년의 문학작품을 통한 인지적 독서치료 프로그램
지금까지 놀이, 게임, 역할극을 활용한 독서치료에 관한 연구는 수행되었으나 그림책 독서치료에 종이조형활동을 적용한 연구는 아직까지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정서적인 어려움을 가진 중학생을 대상으로 종이조형활동을 적용한 그림책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이러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들의 스트레스 인지와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교육부에서 실시한 “학생 정서 행동 특성 검사”를 통해 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A중학교 1학년 학생 30명을 선정하여 15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종이조형 활동을 활용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포함한 혼합 연구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양적 연구방법으로는 그림책과 종이조형활동을 활용한 독서치료프로그램을 16차시에 걸쳐 실시한 후 사전⋅사후의 변화 비교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절차로 이루어졌다.
둘째, 질적 연구방법으로는 종이조형활동을 활용한 그림책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면서 학생들의 반응을 기술하였으며 차시별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림책은 회화처럼 공간적이면서 영화처럼 시간적인 이미지들이 시의 언어와 만나는 일종의 종합예술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글과 그림이 함께 스토리를 만들어 간다는 것은 그림책의 대상이 유아나 어린이에게만 국한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림책에는 아름다운 그림과 함께 많은 사람들의 고민을 해결해 줄 수 있는 장치가 숨어있고, 인생의 질까지도 가름하게 하는 중요한 변수가 작용하여 어린 아동에서부터 부모, 나이든 어른까지 읽는 즐거움을 더한다. 주제가 선명하며, 인물 구성이 잘 짜여 있어서 등장인물의 연령, 경험, 생활과 일치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림책은 최소한 스토리 세 개를 포함하게 된다. 글이 말해 주는 스토리, 그림에 내포된 스토리, 그 둘의 조합에서 비롯되는 스토리이다
스트레스는 일상생활에서 발생되는 것이므로 모든 사람은 불가피하게 스트레스에 직면하게 되는데 개인의 대처에 따라 스트레스의 반응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청소년기에는 자율적 자기통제 능력의 결여, 가치체계에 대한 무조건적인 대응 행동이 스트레스를 더욱 증가시키며, 청소년기는 가정, 학교, 동료집단에서의 상이한 역할 요구로 인해 스트레스가 발생된다고 보았다
중학생의 스트레스 수준과 정신건강 및 신체 증상간의 관계에서 학교생활에서 학업문제로 인한 스트레스 수준이 다른 스트레스 수준과 비교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스트레스, 정신건강, 신체증상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종이조형이란 평면적인 종이를 이용하여 접거나 오리고, 찢고, 자르는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간단한 사물에서부터 생활 소품, 정교하고 복잡한 수준의 기하학적 표현까지 입체화 하거나 형상화한 조형미를 말한다. 그러므로 종이조형 활동은 작업하는 사람이 품고 있는 내적인 생각이 얼마만큼 발산되어 있느냐가 요구되고, 단순히 시각에만 호소하는 외적인 형식이라기보다 내면의 의식세계를 내용으로 해서 종이라는 질료로 창출해낸 조형작업이다
종이조형 활동을 통하여 자신의 마음속에 그리고 있는 느낌과 생각을 자연스럽게 표현하면서 내적의 갈등을 완화하여 심리적인 안정감을 줄 수 있다
이처럼 종이조형활동은 종이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형상화하는 과정을 통해 감정을 정화하고 갈등을 통합하며, 즐거움과 안정감, 만족감, 성취감을 얻는 치료적 효과를 갖는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독서치료의 상호작용 한 부분으로서 종이조형활동이 가지는 치료적인 기능을 활용하고자 한다.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독서치료와 정서적 효과에 관한 연구는 다음과 같이 수행되었다. 조현영
독서치료를 통하여 스트레스와의 상관성을 다룬 연구는 아동과 노인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그동안 독서치료 관련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지만,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으며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관련한 연구는 미미한 편이다.
경기도 부천에 위치한 A중학교 1학년 학생 중 교육부에서 실시한 “학생 정서 행동 특성 검사”를 통해 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스트레스 지수가 높은 편에 속하는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통제집단에는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그림책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지 않으려 하는 청소년들이 있기 때문에 종이조형을 결합하여 자신의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현하여 감정을 정화하고, 문제에 대한 통찰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도록
<표 1>. 종이조형을 활용한 그림책 독서치료 프로그램 구성된 스트레스 상황
독서치료에 도서는 스트레스 상황과 관련된 그림책으로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책의 내용은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해결책이 포함된 것으로 하였다. 책 선정은 아동⋅청소년을 위한 독서치료의 실제(장혜경 2009)와 독서치료를 위한 상황별 독서목록: 증보편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중학교 1학년 15명을 대상으로 16차시에 걸쳐 종이조형활동을 포함한 그림책 독서치료 프로그램 수업을 진행하였다. 회기별 독서치료프로그램은
<표 2>. 회기별 독서치료 프로그램
1차시에는 학생들의 성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감정⋅문장검사를 실시하고, ‘딱지치기와 찰흙으로 감정 표현하기’를 통해 프로그램 소개 및 친밀감을 형성하는 시간을 가졌다.
<표 3>. 독서치료 수업지도안 (8차시)
<표 4>. 독서치료 수업일지 (8차시)
2차시에는 경험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꿀벌나무』를 읽고, ‘나만의 꿀벌나무 만들기’ 활용을 통해 삶의 지표로서 책을 재인식하는 기회를 부여하였다.
3차시에는 신체(외모)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그림책 『내 귀는 짝짝이』을 읽고, ‘친구이름 빙고게임’과 ‘도배지에 친구가 그려준 자신의 전신에 장점 단점 적기’를 통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장점과 단점을 알아보며 자기를 탐색하도록 하였다.
4차시에는 정서(화)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그림책 『소피가 화나면 정말 정말 화나면』을 읽고, ‘나의 두 얼굴 표현하기’를 통해 자신의 정서적 감정을 표현하였다. ‘자신을 화나게 하는 말을 하면 상대방이 공감을 해주는 당연하지’ 게임과 ‘자신을 화나게 했던 말을 적은 풍선을 터트리고, 신문을 구겨서 통에 던지는 활동’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시키고자 하였다.
5차시에는 대인관계(친구)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그림책 『얼굴빨개지는 아이』책을 읽고, ‘친구소개 피자 만들기’와 ‘카드를 만들어 친구에게 전달하기’를 통해 친구와의 관계 형성 및 자신을 재발견하는 시간을 가졌다.
6차시에는 대인관계(이웃)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그림책 『옆집 할머니는 마귀할멈』책을 읽고 ‘할머니, 할아버지를 소개하고 자신이 싫어하는 사람에 대해 종이에 적기’ 활동을 통해 올바른 사회관계를 형성하는 시간이었다.
7⋅8차시에는 가족(형제)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그림책 『피터의 의자』와 『나도 아프고 싶어』를 읽고, ‘약봉지 만들기’를 통해 솔직하게 감정 표현하기와 배려를 바탕으로 한 가족관계를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었다.
9차시에는 자아(진로탐색)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행복한 청소부』를 읽고, ‘직업북 만들기’를 통해 미래를 통해 자기를 재발견하는 시간이었다. 직업북은 버킷리스트를 작성하여 미래에 대한 설계와 함께 잡지나 신문에서 자신이 원하는 직업을 찾아 내용을 구성하도록 하였다.
10차시에는 정서(정서장애)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까마귀 소년』을 읽고, ‘책 속 주인공과 나의 마음을 잘 표현하는 명함 만들기’를 통해 자신의 정서 상황을 탐색하고 인식하는 시간이었다.
11차시에는 자아(가치관)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옥상의 민들레꽃』을 읽고, ‘가치피라미드 만들기’와 ‘가치관 경매하기’를 통해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하는 시간을 가졌다.
12차시에는 가족(경제)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우동 한 그릇』을 읽고, ‘마인드맵 만들기’와 ‘우동 만들어 먹기’를 통해 가족의 사랑과 배려를 깨닫는 시간이 되었다.
13차시에는 정서(사랑)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아낌없이 주는 나무』 책을 읽고, ‘종이조형 활동 감정그래프 그리기’, ‘벤다이어그램’, ‘멘토에게 줄 음료수라벨꾸미기’를 통해 내 인생의 멘토를 찾는 시간이었다.
14차시에는 자아(성취감)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난 고슴도치야』 책을 읽고, ‘자성예언지 만들기’를 통해 문제가 발생했을 때 올바르게 해결하는 법을 깨닫도록 하였다.
15차시에는 정서(화/분노)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오늘도 화났어!』와 『화가 나는 건 당연해』 책을 읽고, ‘화나는 요소 화딱지판에 붙이기’를 통해 정서적 감정을 바르게 표현하도록 하였다.
16차시에는 정서(스트레스)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나, 스트레스 받았어!』 책을 읽고 ‘스치로폼으로 스트레스 풀기’를 통해 주인공과 동일시하는 시간이었다.
경기도 부천시 소재 A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부에서 실시한 “학생 정서 행동 특성 검사”를 통해 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스트레스 지수가 높은 편에 속하는 학생 3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학생 30명을 각각 15명씩 배치하여 2개의 집단(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으로 구성하였다.
종이조형을 활용한 그림책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완화)에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적용하지 않는 통제집단을 비교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실험⋅통제집단간의 사전⋅사후 검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한미현이 한국의 아동에게 적합하도록 개발한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를 일반 청소년 대상에 맞게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반응(감정적, 신체적, 인지적, 행동적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에 대한 신뢰성 검증을 위하여 내적일관성을 분석할 수 있는 Cronbach’s Alpha값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표 5>. 측정변수에 대한 신뢰도 검증
실험 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스트레스 수준과 반응에 대한 동질성 검사를 위하여 독립 이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표 6>. 사전 실험집단⋅통제집단의 스트레스 인지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증
*:
독서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스트레스 인지 차이를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 인지와 스트레스 인지의 하위요인인 가정환경, 친구, 학업, 교사/학교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독서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스트레스 반응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 반응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스트레스 반응의 하위요인에서는 피로를 제외하고 긴장, 좌절, 분노, 우울, 신체화, 공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스트레스 인지와 반응을 감소시키는 것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독서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스트레스 인지 차이를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 인지와 스트레스 인지의 하위요인인 가정환경, 친구, 학업, 교사/학교에 대하여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스트레스 반응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분노를 제외하고 피로, 긴장, 좌절, 분노, 우울, 신체화, 공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독서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통제집단의 스트레스 인지 차이를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 인지와 스트레스 인지의 하위요인, 스트레스 반응과 스트레스 반응의 하위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 7>. 사후 실험집단⋅통제집단간의 스트레스 인지 차이검증
*:
<표 8>.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스트레스 인지 차이 검증
*:p<0.05, **:
<표 9>.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스트레스 인지 차이검증
*: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교육부에서 실시한 “학생 정서 행동 특성 검사”를 통하여 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을 선정하였다. 1차시에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했을 때 감정⋅문장검사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개인별 스트레스 요인과 특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참여학생의 스트레스 요인별 상황을
<표 10>. 참여학생의 스트레스 요인별 상황
16회 동안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마치고 참여 학생의 스트레스 요인별 변화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면
<표 11>. 참여학생 스트레스 요인별 변화에 따른 효과
이 연구는 종이조형을 활용한 그림책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스트레스 인지 및 반응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교육부에서 실시한 “학생 정서 행동 특성 검사”를 통해 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학교 1학년 학생 30명을 선정하여 15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종이조형활동을 활용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관찰을 통하여 아이들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이조형을 활용한 그림책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스트레스 인지를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의 스트레스인지 요인은 학업, 가정환경, 친구, 교사/학교 순으로 나타났으며, 종이조형을 활용한 그림책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실시 전과 실시 후의 실험집단(
둘째, 종이조형을 활용한 그림책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스트레스 반응을 유의하게 감소시킨다. 종이조형을 활용한 그림책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실시 전과 실시 후 실험집단(
셋째,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처음에는 개인별 스트레스 요인을 가지고 있었으나 독서치료 수업에 임하면서 점차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생각을 가진 학생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1.
[thesis]
강, 신자.
2012
2.
[thesis]
강, 태순.
2003
3.
[journal]
고, 경봉, 김, 찬형, 박, 중규.
2000
4.
[thesis]
김, 수영.
2000
5.
[journal]
도, 기봉.
2008
6.
[journal]
서, 기자.
2006
7.
[thesis]
서, 석진.
2012
8.
[thesis]
손, 혜련.
2011
9.
[thesis]
양, 승연.
2004
10.
[thesis]
이, 정화.
2008
11.
[thesis]
임, 미례.
2010
12.
[book]
장, 혜경.
2013
13.
[thesis]
전, 정림.
2011
14.
[thesis]
조, 은주.
2011
15.
[thesis]
조, 현영.
2013
16.
[book]
최, 윤정.
2001
17.
[web]
18.
[book]
2007
19.
[thesis]
한, 상영.
2005
20.
[thesis]
현, 명희.
2005
21.
[journal]
Causey, D. L., Dibow, E. F..
1992
“Development of a Self-Report Coping Measur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22.
[book]
Nodelman, Perry.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