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741559},
author={Ch. 오윤치메그},
title={Tradition of Records Creation of Mongolia: XIII-XX Century},
journal={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issn={1229-7941},
year={2013},
number={35},
pages={217-230}
TY - JOUR
AU - Ch. 오윤치메그
TI - Tradition of Records Creation of Mongolia: XIII-XX Century
JO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PY - 2013
VL - null
IS - 35
PB - Korean Society Of Archival Studies
SP - 217
EP - 230
SN - 1229-7941
AB - 근대 이전 몽골 부족의 기록생산은 토바어, 훈누어, 숨베어, 거란어, 한자 등 여러 고대 언어에 의해 십여 종의 기록에 집중되어 있음을 발굴기록을 통해 알 수 있다. 최초의 몽골어 기록생산은 소고도어의 영향을 받은 몽골비사라고 할 수 있다. 소그도어에 기반한 몽골문자는 13세기 이후 몽골의 기록생산에 사용되었으며 위구르어와는 다른 독창적인 문자이다. 칭키즈칸의 석문은 몽골제국의 공문 생산의 증거이며 소그도어로 쓰여졌다. 이후 몽골제국의 기록생산은 몽골제국이 여러 나라에 보낸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다. 몽골의 전통기록은 고지, 포고, 칙서, 임명장 등 여러 형태가 있으며, 제목, 본문, 결재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몽골 전통문서의 형식과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17세기 이후 몽골의 공식문서는 13세기의 문서 양식에 기초하고 있다.
KW - Mongolian records;documentation;Ghengis Khan;Mongolian secret history
DO -
UR -
ER -
Ch. 오윤치메그. (2013). Tradition of Records Creation of Mongolia: XIII-XX Century.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5, 217-230.
Ch. 오윤치메그. 2013, "Tradition of Records Creation of Mongolia: XIII-XX Century",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no.35, pp.217-230.
Ch. 오윤치메그 "Tradition of Records Creation of Mongolia: XIII-XX Century"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5 pp.217-230 (2013) : 217.
Ch. 오윤치메그. Tradition of Records Creation of Mongolia: XIII-XX Century. 2013; 35 : 217-230.
Ch. 오윤치메그. "Tradition of Records Creation of Mongolia: XIII-XX Century"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no.35(2013) : 217-230.
Ch. 오윤치메그. Tradition of Records Creation of Mongolia: XIII-XX Century.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5, 217-230.
Ch. 오윤치메그. Tradition of Records Creation of Mongolia: XIII-XX Century.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013; 35 217-230.
Ch. 오윤치메그. Tradition of Records Creation of Mongolia: XIII-XX Century. 2013; 35 : 217-230.
Ch. 오윤치메그. "Tradition of Records Creation of Mongolia: XIII-XX Century"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no.35(2013) : 217-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