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569245},
author={Kim,Changho},
title={역사적 사실과 문학적 변형, 리후이잉의 萬寶山 읽기},
journal={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issn={1738-3668},
year={2011},
number={11},
pages={71-84},
doi={10.22888/mcsa..11.201106.71}
TY - JOUR
AU - Kim,Changho
TI - 역사적 사실과 문학적 변형, 리후이잉의 萬寶山 읽기
JO -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PY - 2011
VL - null
IS - 11
PB - The Manchurian Studies Association
SP - 71
EP - 84
SN - 1738-3668
AB - 이 글은 중국 작가 리후이잉의 ≪만보산≫을 통하여 역사적 사실과 문학적 진실의 관계를 조명하는데 목적이 있다.소설 ≪만보산≫은 1931년 여름한중농민이 장춘 근교의 만보산 일대에서 수전개발과 관련하여 충돌한 사건을 형상화한 작품이다.그러나 역사적 사실을 소재로 한 이 작품은 실제사건과 달리 일제와 기층 권력에 맞서는 한중농민의 연대라는 문학적 변형을 가지고 있다.이러한 변형의 가장 큰 원인은 그의 등단과정에서 찾을 수있다.길림 출신인 작가는 중학교 졸업이후 상하이로 건너가 공부를 계속하지만 상하이사변 발생으로 더 이상 학업을 이어가지 못하게 되자 문학을 도구로 한 항일운동에 참여한다.그는 첫 번째 항일 단편소설인 ≪마지막 수업≫을 발표하고 이어 장편소설 ≪만보산≫을 발표한다.일본에 의해 고향이 함락된 동북출신의 작가들은 항일과 더불어 실향의 고충과 귀향의식 등을 묘사하고 있지만,리후이잉의 경우 등단과정에서 좌련의 기관지 ≪북두≫의 편집인이자 공산당 계열의 중진작가인 딩링의 지지와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초기 작품인≪만보산≫의 경우 작가 본인의 고유한 성향과 더불어 딩링의 문학관이 함께 반영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KW -
DO - 10.22888/mcsa..11.201106.71
ER -
Kim,Changho. (2011). 역사적 사실과 문학적 변형, 리후이잉의 萬寶山 읽기.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11, 71-84.
Kim,Changho. 2011, "역사적 사실과 문학적 변형, 리후이잉의 萬寶山 읽기",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no.11, pp.71-84. Available from: doi:10.22888/mcsa..11.201106.71
Kim,Changho "역사적 사실과 문학적 변형, 리후이잉의 萬寶山 읽기"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11 pp.71-84 (2011) : 71.
Kim,Changho. 역사적 사실과 문학적 변형, 리후이잉의 萬寶山 읽기. 2011; 11 : 71-84. Available from: doi:10.22888/mcsa..11.201106.71
Kim,Changho. "역사적 사실과 문학적 변형, 리후이잉의 萬寶山 읽기"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no.11(2011) : 71-84.doi: 10.22888/mcsa..11.201106.71
Kim,Changho. 역사적 사실과 문학적 변형, 리후이잉의 萬寶山 읽기.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11, 71-84. doi: 10.22888/mcsa..11.201106.71
Kim,Changho. 역사적 사실과 문학적 변형, 리후이잉의 萬寶山 읽기.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2011; 11 71-84. doi: 10.22888/mcsa..11.201106.71
Kim,Changho. 역사적 사실과 문학적 변형, 리후이잉의 萬寶山 읽기. 2011; 11 : 71-84. Available from: doi:10.22888/mcsa..11.201106.71
Kim,Changho. "역사적 사실과 문학적 변형, 리후이잉의 萬寶山 읽기"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no.11(2011) : 71-84.doi: 10.22888/mcsa..11.201106.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