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Home

2011, Vol., No.11

만보산 사건과 『리턴 보고서』-재만 조선인에 관한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고바야시 레이코 | 2011, (11) | pp.7~33 | number of Cited : 9
장학량정권의 對韓人政策-만보산 사건’의 遠因을 찾아서-
Song Han Yong | 2011, (11) | pp.35~70 | number of Cited : 7
역사적 사실과 문학적 변형, 리후이잉의 萬寶山 읽기
Kim,Changho | 2011, (11) | pp.71~84 | number of Cited : 5
1931년의 ‘배화(排華)사건’과 민족주의 담론
Sang-Kyung Lee | 2011, (11) | pp.85~115 | number of Cited : 22
「万宝山」,농민문학과 개척문학
Yu SuJeong | 2011, (11) | pp.117~146 | number of Cited : 4
풍류황제 송 휘종은 어디에 묻혀있는가?
김관웅 | 2011, (11) | pp.149~177 | number of Cited : 6
鄕通事河世國과 조선의 선택-16~17세기 한 女眞語통역관의 삶과 죽음-
Seung Bum Kye | 2011, (11) | pp.179~208 | number of Cited : 9
기억과 망각의 서사로서의 만주 배경 17세기 전쟁 소재 역사소설 읽기-최척전(崔陟傳)․강로전(姜虜傳)․김영철전(金英哲傳) 을 중심으로-
Lee, Min Heui | 2011, (11) | pp.209~241 | number of Cited : 11
만주 주재 선교사 존 로스(JohnRoss)의 의화단운동 이해
Park, Hyung-Shin | 2011, (11) | pp.243~277 | number of Cited : 4
<황해>, 혹은 만주 이미지의 역전
SUK JUNG HAN | 2011, (11) | pp.281~289 | number of Cited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