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569248},
author={Yu SuJeong},
title={「万宝山」,농민문학과 개척문학},
journal={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issn={1738-3668},
year={2011},
number={11},
pages={117-146},
doi={10.22888/mcsa..11.201106.117}
TY - JOUR
AU - Yu SuJeong
TI - 「万宝山」,농민문학과 개척문학
JO -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PY - 2011
VL - null
IS - 11
PB - The Manchurian Studies Association
SP - 117
EP - 146
SN - 1738-3668
AB - 본 논문에서는 만보산 사건 관련 언설 중 일본문단에서 생산된 소설을고찰 대상으로 한다.그 대표적인 문학작품에는 이토 에이노스케(伊藤永之介)의 단편소설「만보산(万宝山)」(1931.10)과 장혁주(張赫宙)의 장편소설 개간(開墾) (1943.4)이 있다.만보산 사건을 다루고 있는 일본어소설 「만보산」과 개간 은 같은 소재를 다루고 있는 작품이지만 하나는 농민문학,또 다른 하나는 개척문학으로 분류된다.작가가 어떠한 동기로,무엇을 목표로 하여 ‘사건’(사실)을 재해석하고 서사하였는지,그리고 무엇보다 그 근저에 깔린 이데올로기가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만보산 사건을 형상화하는 문학적담론들을 이해하고 ‘사건’과 표상을 읽어내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만보산 사건이 일본 문학에서 어떻게 서사되는지를 고찰하기 위해 먼저 만보산 사건이 일본에 보도된 몇 가지 예를 신문잡지 기사를 통해 살펴보고,「만보산」과 개간 의 작가들이 어떠한 행보를 거쳐 어떠한 문단적 상황 하에서 각각의 작품을 창작하였고 어떻게 서사하였는지를확인하여 작가가 어떠한 동기로,무엇을 목표로 하여 ‘사건’을 재해석하고서술하였는지,그리고 근저에 깔린 이데올로기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프롤레타리아문학 단체들의 전성기에 단체 중앙위원회의 지도에 따라 식민지문제를 다루면서 일본과 조선 농민들의 연대를 지향하면서도 후쿠모토식의 계몽적 계급의식이 아니라 농민들에 의한 농민들의 문학을 이상으로했던 이토 에이노스케는 이중으로 고통 받는 만주의 조선인들을 일본제국주의 고발을 통해 그려냈다.
식민지 출신으로 일본 중앙문단에서 ‘조선인’이라는 이유로 주목 받던장혁주는 조선인으로서 자신이,그리고 자신의 민족이 제국 안에서 자리매김하기 위한 방법을 끊임없이 모색하였고,이를 만주를 통해 그리려 하였다.
그러한 모색을 통해 획득된 장혁주의 시선이 이토 에이노스케가 ‘만보산 사건’을 바라 보는 그것보다 더 제국적인 것이었다는 점은 아이러니하면서도굴절된 것이지만,이 역시도 역사의 산물이라 해야 할 것이다
KW - a
DO - 10.22888/mcsa..11.201106.117
ER -
Yu SuJeong. (2011). 「万宝山」,농민문학과 개척문학.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11, 117-146.
Yu SuJeong. 2011, "「万宝山」,농민문학과 개척문학",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no.11, pp.117-146. Available from: doi:10.22888/mcsa..11.201106.117
Yu SuJeong "「万宝山」,농민문학과 개척문학"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11 pp.117-146 (2011) : 117.
Yu SuJeong. 「万宝山」,농민문학과 개척문학. 2011; 11 : 117-146. Available from: doi:10.22888/mcsa..11.201106.117
Yu SuJeong. "「万宝山」,농민문학과 개척문학"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no.11(2011) : 117-146.doi: 10.22888/mcsa..11.201106.117
Yu SuJeong. 「万宝山」,농민문학과 개척문학.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11, 117-146. doi: 10.22888/mcsa..11.201106.117
Yu SuJeong. 「万宝山」,농민문학과 개척문학.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2011; 11 117-146. doi: 10.22888/mcsa..11.201106.117
Yu SuJeong. 「万宝山」,농민문학과 개척문학. 2011; 11 : 117-146. Available from: doi:10.22888/mcsa..11.201106.117
Yu SuJeong. "「万宝山」,농민문학과 개척문학"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no.11(2011) : 117-146.doi: 10.22888/mcsa..11.201106.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