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 - JOUR AU - 츠카세 스스무 TI - temp JO -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PY - 2007 VL - null IS - 6 PB - The Manchurian Studies Association SP - 65 EP - 85 SN - 1738-3668 AB - ‘민족(ethnic group)’이라는 개념은 유럽으로부터 동아시아에 이입되었다.
청나라가 건립되었을 당시에는 민족에 대한 개념 자체가 존재하지 않았고, 19세기 말에 들어서야 중국에서 ‘민족’이라는 어구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청나라의 지배하에 있던 당시 만주지방은 기민제(旗民制)-기인(旗人) 과 민인(民人)으로 백성들을 나누어 지배하는 통치제도에 의해 통치되었고 이 시대에 두 집단의 민족적 차이는 부차적인 문제였을 뿐이었다. 20 세기 초반에 접어들어 기민제가 붕괴된 후에서야 민족적 차이는 그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20세기에는 서로 다른 민족 집단들을 통합할만한 이데올로기가 아직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민족적 차이는 사회적 문제를 야기시켰다. 비록 만주 정부가 서로 다른 민족들의 화합을 강조하고 이에 따른 정책들을 수립하기는 하였으나, 이러한 정책들은 실제적으로 실행되지 못하였다. KW - DO - UR - ER -
츠카세 스스무. (2007). temp.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6, 65-85.
츠카세 스스무. 2007, "temp", Journal of Manchurian Studies, no.6, pp.6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