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2023 KCI Impact Factor : 1.68
-
pISSN : 1738-463X / eISSN : 2734-0112
- https://journal.kci.go.kr/schooljr
pISSN : 1738-463X / eISSN : 2734-0112
Gratitude Program Development for College Students
문은주 1
1경북대학교
감사는 긍정적인 인간의 대표적 강점 중 하나이며
1-1. 대학생용 감사프로그램은 비교집단 프로그램
1-2. 대학생용 감사프로그램은 비교집단 프로그램
감사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감사와 관련된 연구가 발달단계에 따라 대상별로 이루어지고 있다. 초등학생 대상의 감사프로그램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이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과 동일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프로그램 구성 면에서 감사일지 작성으로 구성한 연구
그러므로 감사의 구성요소인 인지, 정서, 행동적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감사프로그램의 감사성향 향상에 대한 효과와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아직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앞에서 밝힌 감사프로그램의 내용, 감사성향에 대한 효과 및 지속성을 밝히고자 대학생에게 적합한 감사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도에 위치한 H대학교 30명과 S대학교 28명이다. 이들은 심리학개론을 수강하는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감사성향 척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감사프로그램이 많지 않으므로 감사의 요소인 인지, 정서, 행동적 요소를 포함한 감사프로그램의 분석을 통해 대학생용 감사프로그램의 내용이나 상담전략 및 상담기법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찾았다. 요약하면 감사프로그램에 따라서 강조하는 바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프로그램의 내용이 감사의 요소에 근거해서 구성되었다. 즉 맹목적 감사가 아닌 감사의 정의와 감사를 다루는 인지적 접근, 감사의 경험을 통한 정서적 접근, 감사를 표현하는 행동적 접근 등으로 구성되었다. 상담전략 및 상담기법 면에서는 인지행동적 상담기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구성요소는 선행연구를 통한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요인을 고려하여 감사프로그램의 구성내용을 도입, 인지적 영역, 정서적 영역, 행동적 영역, 마무리로 정하고, 각 구성내용별로 하위내용을 선정하였다. 감사의 구성요소는 8가지 요소(가진 것에 초점두기, 경외, 의식, 현재순간, 자기/사회적 비교, 고마움, 상실/역경, 대인관계)를 포함하는 것으로써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요소로 구성한다
한편 매 회기의 프로그램의 구성순서는 회기별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 주요개념에 대한 강의, 활동, 마무리 등으로 구성하였다. 마무리 단계에는 활동내용을 자신과 관련하여 보고하는 느낌나누기로 구성하였다.
감사프로그램에서 적용한 상담전략은 대학생들이 감사를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도록 가장 효과적인 전략을 다음과 같이 선정하고 조직, 구성하였다. 먼저 인지적 영역에서는 감사의 의미와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감사를 하지 못하는 상황과 비합리적인 생각을 확인하기 위해 형태주의 상담전략과 인지행동 상담전략을 선정하였다. 그 다음 비합리적인 생각을 합리적인 생각으로 바꾸기 위하여 인지행동 상담전략을 선정하였다. 그 다음 다양한 감사상황을 통한 감사의 느낌을 체험하기 위하여 게슈탈트 상담전략을 선정하였으며, 그 다음 자신의 마음을 격려하고, 감사를 전하고픈 대상에 대하여 직접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행동적 상담전략을 선정하였다. 감사프로그램의 회기 수와 회기별 시간은 대학생의 교육과정, 프로그램 구성내용의 분량 등을 고려하여 회기 수는 총 10회기로 하고, 회기별 시간은 60분으로 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감사프로그램의 개요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감사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 검증하기 위하여 기존의 감사프로그램 가운데 연구대상, 연구기간, 프로그램의 내용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비교프로그램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비교프로그램으로 선정된 연구는
본 연구에서는 감사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하여 평가대상자를 선정한 후, 감사프로그램 총 10회기를 매 회기 60분씩 한 번에 2회기씩 5주에 걸쳐서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집단에 대해서는 감사일기 프로그램
본 연구에서는 1피험자 간(집단유형:실험집단/비교집단/통제집단)-1피험자 내(측정시기:사전/사후/추후) 이요인 혼합설계에 따라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였다. 각 종속변인 별로 1피험자 간-1피험자 내의 이요인 혼합설계를 통해 단변량 분석을 하였다. 단변량 분석 결과가 .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우에는 단순 주효과검증을 실시하였다. 단순 주효과 검증을 실시하여 시기 간이나 집단 간에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집단에 대해 Turkey-HSD 사후검증을 실시하여 집단 간의 구체적인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상의 모든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한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집단유형3(실험집단/비교집단/통제집단)과 측정시기3(사전/사후/추후)에 따라 감사척도 전체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혼합설계를 통해 분산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난 집단유형과 측정시기의 상호작용 효과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집단유형별, 측정시기별로 단순 주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감사척도 전체점수에 대하여 집단유형에 따른 측정시기 간 차이를 살펴보면, 실험집단 (F(2, 36)= 109.308,
단순 주효과검증 결과 .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사후검사 점수에 대한 집단유형 간 차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단순 주효과검증 결과 .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추후검사 점수에 대한 집단간 차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단순 주효과검증 결과 .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실험집단의 측정시기 간 차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단순 주효과검증 결과 .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비교집단의 측정 시기간 차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집단유형3(실험집단/비교집단/통제집단)과 측정시기3(사전/사후/추후)에 따라 인지적 요인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집단유형과 측정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집단유형별, 측정시기별 단순 주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집단유형에 따른 측정시기 간 차이를 살펴보면, 실험집단(F(2, 36) = 37.018,
단순 주효과검증 결과 .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사후검사 점수와 추후검사 점수에 대해서 집단 간 차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단순 주효과검증 결과 .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측정시기에 따른 인지적 요인 점수에 대한 차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집단유형3(실험집단/비교집단/통제집단)과 측정시기3(사전/사후/추후)에 따라 정서/행동적 요인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집단유형과 측정시기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집단유형별, 측정시기별 단순 주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집단유형에 따른 측정시기 간 차이를 살펴보면, 실험집단(F(2, 36) = 122.483,
단순 주효과검증 결과 .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사후검사 점수와 추후검사 점수에 대해서 집단 간 차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단순 주효과검증 결과 .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측정시기 간 정서/행동적 요인점수 차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개발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근거로 하여 프로그램의 목적을 가장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시한 후 타당한 절차에 따라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여기서는 대학생용 감사프로그램이 기존 감사일기 프로그램(비교집단) 및 통제집단보다 더 효과적으로 대학생의 감사성향을 향상시키는지와 관련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대학생용 감사프로그램은 감사일기 프로그램보다 더 효과적으로 대학생의 감사성향(전체점수)을 향상시킬 것인가? 연구결과를 보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감사성향 전체점수를 향상시키지만,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더 크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선행연구의 결과와 관련지어 논의해 보고자 한다.
이론적 근거면에서 논의해 보면, 비교집단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구성요소 면에서 논의해 보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실험집단 프로그램은 비교집단 프로그램보다 구체적이고 다각적인 요소를 반영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이다. 즉 McCollugh 등(2002),
활용한 상담전략 및 기법 면에서 논의해 보면, 비교집단 프로그램은 감사일지를 작성 또는 받은 복을 세어보기와 같이 단순하고 반복적인 개입을 통해 정서적 변화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으나, 실험집단 프로그램에서는 감사의 구성요소인 인지, 정서, 행동적인 요소 전체에 초점을 두고 구성하였다. 즉, 감사를 해야함에도 불구하고 못하게 하는 나의 비합리적 생각 탐색, 탐색된 비합리적인 생각의 논박을 통하여 근본적인 사고의 변화를 가져오게 하였다. 논박을 제시함에 있어서 논리적인 근거(논리성, 유용성, 현실성)를 제시함으로써 참가자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하고 있다. 상황에 따른 감사의 느낌을 탐색하고, 자기진술과 자기지시를 통해 참가자들이 감사를 표현함에 있어 자신을 갖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감사성향(전체점수)을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 보면 대학생용 감사프로그램(실험집단)은 명확한 이론적 근거와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활용한 상담전략 및 기법 등의 면에서 비교집단 프로그램(감사일기 프로그램)과 차별화됨으로써, 대학생의 감사성향을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며 그 효과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대학생용 감사프로그램은 기존의 감사프로그램보다 더 효과적으로 대학생의 감사의 하위요인(인지적, 정서/행동적)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인가? 연구결과를 보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감사의 하위요인 중 인지적, 정서/행동적 요인 점수를 향상시키지만,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더 크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선행연구의 결과와 관련지어 각 하위요인별로 논의해 보고자 한다.
먼저 인지적 요인의 프로그램의 구성내용 면에서 논의해 보면, 비교집단 프로그램은 인지적 활동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반면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실험집단 프로그램은 인지적 요인의 감사성향 향상을 위하여 2∼4회기에 인지적 요인의 향상을 위하여 이것과 논리적 연결성을 지니는 역기능적 인지의 수정활동(감사를 못하게 하는 상황과 그에 따른 비합 리적 생각 찾기, 논박을 통해 비합리적 생각 바꾸기)을 구성함으로써 해당 인지적 요인을 수정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하여 효과적인 인지적 요인의 각성과 함께 이를 방해하는 역기능적 인지적 요인의 수정을 다루어줌으로써 그 상호작용 효과로 인지적 요인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인지적 요인을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활용한 상담전략 및 기법 면에서 논의해 보면, 실험집단 프로그램은 비합리적인 사고임을 깨닫게 하는 논박을 논리적인 근거(논리성, 유용성, 현실성)에 준하여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이렇게 볼 때 논박의 이해와 적용의 효과면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인지적 요인을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이상의 논의에서 볼 때 실험집단과 비교집 단 모두 인지적 요인을 감소시키지만,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감사의 하위요인 중 인지적 요인을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정서/행동적 요인의 프로그램의 구성내용 면에서 논의해 보면, 비교집단 프로그램은 매주 5개씩 자신이 감사히 여기는 것을 기록하는 단일기법 활동으로 정서적 요인의 향상에 초점을 두고 구성하였다. 반면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실험집단 프로그램은 정서/행동적 요인의 감사성향 향상을 위하여 5∼6회기에서는 타인으로부터 감사를 받을 때와 감사를 받지 못할 때의 느낌, 내가 타인에게 감사를 하였을 때와 감사를 하지 못했을 때의 느낌 등으로 다양한 상황에서의 감사 느낌을 각성하고, 특히 감사를 표현함으로써 얻게 되는 긍정적 정서 경험을 강조하였으며, 감사의 표현까지 연결할 수 있도록 자신의 마음을 격려하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7∼9회기에서는 감사의 대상에게 직접 감사를 표현하는 자기관리(행동수정) 능력을 개발함으로써, 정서/행동적 요인의 감사성향 향상을 위한 활동을 하게 하였다. 특히 10회기에서는 프로그램 종료 후 프로그램 활동에서 계획한 감사의 실천을 지속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전반의 내용을 통합적으로 연결하여 다루어 줌으로써 구체적인 해당 감사상황에 대해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정서/행동적 요인을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활용한 상담전략 및 기법 면에서 논의해 보면, 실험집단 프로그램은 자기진술 및 자기지시를 활용함으로써 자신의 마음을 격려하고 감사표현에 까지 이를 수 있는 실제적인 접근을 하고 있으므로 감사에 대한 기록만을 활용한 비교집단보다 정서/행동적 요인을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이상의 논의에서 볼 때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정서/행동적 요인을 향상시키지만,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감사의 하위요인 중 정서/행동적 요인을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 보면, 대학생용 감사프로그램(실험집단)은 프로그램의 구성내용, 활용한 상담전략 및 기법 등의 면에서 비교집단(감사일기 프로그램)과 차별됨으로써 감사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요인, 정서/행동적 요인을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며, 그 효과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들을 중심으로 제한점과 후속 연구과제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특정 지역에 위치한 2개 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기 때문에 전체 대학생에게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추후 타 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한 연구에서도 효과가 있는지 검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이므로 초, 중, 고등학생, 성인에게 실시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내용을 수정, 보완하여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직접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므로, 프로그램 효과에 미치는 연구자의 영향을 완전히 배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자질을 갖춘 다른 실시자를 통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사의 다각적인 측면을 효과적으로 활용한 대학생을 위한 체계적인 감사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감사를 통해 친사회적 행동 증가, 생활 스트레스 및 우울경향 감소 등 대학생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게 될 것이다.
셋째, 감사프로그램이 개인상담 및 집단상담에 적용함으로써 대학생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예방적, 발달적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감사프로그램이 주로 학교에서 소그룹활동으로 이루어졌으나, 지시적 또는 통제적 부모, 감정표현이 적은 가족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가정 연계 활동으로 진행함으로써, 가족 간의 이해와 친밀감을 향상하게 될 것이다.
1.
[book]
권, 석만.
(2009)
2.
[thesis]
김, 나영.
(2011)
3.
[thesis]
김, 동희.
(2008)
4.
[thesis]
김, 미정.
(2009)
5.
[thesis]
노, 지혜.
(2005)
6.
[journal]
배, 옥현, 홍, 상욱.
(2008)
7.
[thesis]
유, 선진.
(2011)
8.
[thesis]
유, 수연.
(2011)
9.
[journal]
이, 옥형.
(2012)
10.
[thesis]
이, 지은.
(2012)
11.
[thesis]
이, 지현.
(2009)
12.
[thesis]
이, 한미.
(2012)
13.
[thesis]
이, 향숙.
(2008)
14.
[journal]
임, 경희.
(2009)
15.
[journal]
임, 경희.
(2010)
16.
[thesis]
채, 중민.
(2008)
17.
[journal]
Adler, M. G., Fagley, N. S..
(2005)
Appreciation: Individual differences in finding value and meaning as a unique predictor of subjective well-being.
18.
[book]
Ben-Ze've, A..
(2000)
19.
[journal]
Emmons, R. A., Crumpler, C. A..
(2000)
Gratitude as a human strength: Appraising the evidence.
20.
[journal]
Emmons, R. A., McCullough, M. E..
(2003)
Counting blessing versus burdens: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dailylife.
21.
[journal]
Harrist, S., Carlozzi, B. L., McGovern, A R., Harrist, A. W..
(2007)
Benefits of expressive writing and expressive talking about life goals.
22.
[journal]
Kashdan, T. B., Uswatte, G., Julian, T..
(2005)
Gratitude and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in vietnam warveterans.
23.
[book]
Lazarus, R. S., Lazarus, B. N..
(1994)
24.
[journal]
McCullough, M. E., Emmons, R. A., Kilpatrick, S. D., Larson, D. B..
(2001)
Is gratitude a moral affect?
25.
[journal]
McCullough, M. E., Emmons, R. A., Tsang, J. A..
(2002)
The gratitude disposition: A conceptual and empirical topology.
26.
[journal]
Monica, Y. B., Desteno, D..
(2006)
Gratitude and prosocial behavior helping when it costs you.
27.
[journal]
Ng, W., Diener, E., Aurora, R., Harter, J..
(2009)
Affluence, feelings of stress, and well-being.
28.
[journal]
Pennebaker, J. W., Seagal, J. D..
Journal of
Forming a story: The health benefits of narrative.
29.
[book]
Peterson, B. E., Seligman, M. E. P..
(2004)
30.
[journal]
Watkins, P. C., Woodward, K., Stone, T., Kolts, R. L..
(2003)
Gratitude and happiness: The development of a measure of gratitude and relationship with subjective well-being.
31.
[journal]
Weiner, B..
(1985)
An attributional theory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emotion.
32.
[journal]
Wood, A. M., Joseph, S., Lloyd, J., Atkin, S..
(2009)
Gratitude influences sleep through the mechanism of pre-sleep cognitions.